독서평 : 우리는 왜 잊어야 할까 (스콧 A. 스몰, 북트리거 출판사)
뭔가 기억이 나지 않아서 답답한 경험이 있지 않으신가요? 한 해 한 해 나이를 먹어갈 수록 어쩌면 그렇게 기억들이 사라지는지. 기억이 흐려지고 사라지는 현상은 모든 사람들이 경험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저 또한 그런 일을 많이 경험했습니다. 혹자는 잊는 것이 축복이며, 그것은 우리의 평안을 위해 좋은 일이라는 철학적 설명을 내놓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말하는 것은 완전히 과학적인 설명입니다. 망각은 그 자체로 인지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입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망각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꼭 읽어보세요!
책을 읽어보고 싶어지는 몇 가지 포인트를 여기에 공유하고 싶습니다.
- 인지 =기억 + 망각 (18)
- 인지능력은 기억하는 능력과 망각하는 능력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
- 기억과 망각의 능동적 균형 (64)
- 컴퓨터조차 망각 알고리즘을 넣어야 인식 성능이 크게 올라가는 것이다. (81)
-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는 망각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 새로운 길을 배우려면 잊어야 한다. (60)
-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는 적당한 망각이 균형을 이뤄줘야 우리가 안정적으로 살 수 있음 (87)
- 과거의 판단기준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면, 망각해버리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 해마 기능이 나빠서 잘 까먹으면 오히려 판단은 더 정확할 수 있다. 선입견이나 초기 판단을 까먹으니까.
- 망각 = 기억을 깎아내는 끌 (74) = 유연성 (75)
- 분자 차원에서는 기억이나 망각의 구조는 파리, 생쥐, 인간이 모두 같다. (65)
- 이건 좀 어려운 이야기인데... 책에서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