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평: 농경의 배신 (제임스 C. 스콧, 책과함께)

기대했던 것 보다 훨씬 좋았다. 이 책은 인류가 최초로 도시와 국가를 형성하게된 과정을 가장 현실적으로 설명해준다. 물론 저자는 추론임을 강조하지만, 그 추론은 여러가지 학술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다. 저자의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가 무심코 생각하는 통념들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을 수 있다. 여기에 내가 읽고 정리한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인류는 수렵채집 단계에서 농경 단계로 넘어갔다?

  • 인류가 다같이 수렵채집을 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농경을 시작하고 문명이 시작되었다는 도식적 이론은 틀렸다. 
    • 어느날 뿅 하고 농경을 시작할 리가 없는 것이다.
  • 인류는 자연을 세심히 관찰하고 주변 환경을 최대한 이용하고 일부 변형하기도 하면서 삶을 영위했다.
    • 인간은 환경을 바꾸고 환경은 인간을 바꾸었다.
    • 농경은 주변 환경을 변형하면서 이용하는 하나의 사례일 뿐이다.  
    • 식량을 확보하기 위해 수렵, 채집, 목축, 농경을 모두 다 수행했다. 
      • 수렵채집과 농경을 동시에 영위한 기간은 아주 길었고, 그러한 삶은 좋은 삶이었다.
      • 최대한 많은 식량원을 갖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 아니겠는가. 가능한 모든 수단을 활용했다는 가정은 매우 합리적이다.
  • 그런데 어쩌다가 농경의 비중이 높아진 것일까?
    • 저자는 기후변화를 그 원인으로 설명한다. 환경이 척박해지면서, 다양한 식량확보 수단 중 많은 것이 불가능해진 것이다. 
    • 건조해지고 수위가 낮아지니까 물있는 곳으로 모여들 수밖에. 생태 자원이 줄어드니까 농사의 중요성이 강제로 커질 수밖에.


2. 농경으로 잉여 생산물이 축적되면서 국가가 출현했다?

  • 농경과 정착생활이 시작된 후에도 거의 4,000년동안이나 국가는 형성되지 않았다. 농경이 국가 출현의 원인이라는 가정은 틀렸다.
  • 저자는 역사를 '길들이기' 과정으로 정의한다. 
    • 환경, 생물, 인간을 모두 활용하고자 하는 욕망.
    • 처음에는 불, 이어 식물과 가축, 그리고 국가의 국민과 포로, 마지막으로 가부장제 가정 안에서의 여성 등
    • 길들이는 과정이 국가 형성의 핵심이라고 주장. 인간을 가축취급하였다.
  • 자연스럽게 잉여 생산물이 축적되고. 국가는 이것을 "관리"해야 하므로,
    • 관리하기 쉬운 곡물 생산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
  • 따라서 국가의 핵심 자원은 <인구>였음
    • 전쟁의 핵심 목적도 자원 탈취보다, 인력 탈취였다. 즉 노예를 확보하기 위한 것.
      • 사회적 투자 없이 성숙한 노동력을 일거에 대량으로 취득한 것
      • 여성 노예는 또 수태 능력을 가지므로 가치가 있다. 거의 가축 취급이었던 것.
    • 이 관점으로 보면 대항해시대 유럽의 식민지 전쟁도 정확히 같은 프레임에 들어온다. 


3. 도시문명이 붕괴하는 것은 인류의 퇴보를 의미한다?

  • 문명은 도시국가를 형성했다가 무너졌다가를 수도 없이 반복했다. 
    • 국가의 붕괴가 뭐가 나빠?
    • 붕괴는 자연스러운 일인 것이다.
  • 붕괴의 제1원인은 <인구>의 붕괴
    • 지나치게 세금을 걷어서 민생이 피폐해지면, 도주하는 일이 많았다.
      • 도망가는 사람도 매우 많았다. 세금내기 싫고 강제 노역 하기 싫으니까.
      • 성벽은 외부의 적을 보호하기 보다는, 내부의 노동자가 도망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 전염병으로 급격히 인구가 줄거나, 전염병을 피해 시골로 도망갔다.
      • 인간이 모이고 동물들이 모이면? 전염병은 자연스러운 귀결
    • 전쟁에 패해서 붕괴하기도 했다.
      • 인구가 노예로 잡혀가버리니까.
    • 기후가 변화하고, 생태계의 파괴로 붕괴하기도 한다.
      • 지나친 환경 개선은 돌이킬 수없는 환경 변화로 이어지고
      • 결국 식량을 생산할 수 없는 상태까지 망가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밖에.
  • 문명의 붕괴는 위태롭게 쌓아올린 구조물의 최상단이 무너진 것 뿐
    • 인류는 이런 시기에도 흩어져서 계속 진보해왔다. 
    • 문명이 사라지고 암흑기가 온 것처럼 오도해서는 안된다는 것.


4. 야만인은 문명을 위협하다가 무너뜨리는 존재였다?

  • 애초에 야만인이라는 분류가 문제이다. 도시, 국가에 속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야만인이라고 분류됨.
    • 역사 기록은 거의 항상 국가의 편에서 기록되므로 편향이 있다.
  • 야만인은 국가의 속박으로부터 도망친 사람들이었다. 
    • 그들은 국가의 핍박과 세금으로부터 자유로웠기 때문에 더 잘 살았다.
  • 야만인이란 결국 국가의 dark twin이다. 그들은 국가가 진화함에 따라 공진화한 것이다.
    • 처음에는 국가를 습격해 약탈하다가, 보호세를 받는 방향으로 발전함
      • 거위의 배를 가르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뜯어먹는 길을 택한 것이다.
      • 보호세로 삥을 뜯는 것 자체가 결국 세금 걷는 행위나 마찬가지이고, 결국 그들은 국가와 다를바 없는 존재
    • 큰 문명국가가 몰락하면 야만인들도 같이 몰락한 사례가 많다. 그들이 서로 의존하는 사이였음을 보여준다.


추신. 이 책을 베스트셀러인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같이 읽으면 재미있습니다. 과연 농경의 시작과 국가의 출현에 관한 하라리의 설명은 얼마나 타당할까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노래부르기: 일 몬도(Il Mondo)

독서평 : 해 질 무렵 안개정원 (탄 트완 엥, 자음과모음 출판사)

독서평: 도서관의 삶, 책들의 운명 (수전 올리언, 글항아리)

사전읽기: Questo (이것)

독서평 :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대런 아세모글루, 제임스 A. 로빈슨, 시공사)

독서평 : 어메이징 브루클린 (제임스 맥브라이드, 미래지향 출판사)

문장읽기: 엘레나 페란테의 책읽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