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평 : 초협력사회 - 전쟁은 어떻게 협력과 평등을 가능하게 했는가 (피터 터친, 생각의힘 출판사)

이 책이 인류의 진화를 설명하는 방식이 흥미롭다. 인류의 진화 과정의 핵심 동인으로 지리, 제도를 생각해왔는데 이 책에서는 전쟁을 주된 동인으로 설명해주고 대단히 설득력이 있다. 인 류의 역사를 하나의 키워드로 엮어 설명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었다.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지리적 환경'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총, 균, 쇠』를 썼고, 대런 아제모글루와 제임스 A. 로빈슨은 '제도'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를 썼다. 이 책 『초협력사회』에서 터친은 '전쟁'이라는 키워드로 인류의 역사를 바라본다. 터친에 따르면, 인류가 거대한 협력체계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도, 그리고 인류가 오랜 평등의 시기를 마친 후 극도의 불평등 시기를 거치고 또다시 평등한 시대를 열게 된 것도 전쟁 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 전쟁이 인류의 진화 방식 자체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발사식 살상무기로 인해 알파 수컷은 사라지고 협력해야 할 이유가 강화된 것이다. 협력하지 않는 부족은 전쟁을 이길 수 없으니까. 소부족간 전쟁을 우습게 보지 마라. 패하는 부족은 동화흡수되는 형태의 절멸을 겪는다. 병력수와 전투력, 사상자로 인한 전투력의 감소를 생각하면 수적 우위의 제곱만큼 상대방에게 사상자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쟁을 위해 소부족을 넘는 거대한 국가의 필요가 생겨난다. 그런데 거대화를 하고 싶어도 신뢰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냐? 여기서 종교 등장! 아무리 모르는 사람이라도 같은 신앙인이라면 믿고 보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잘 알려진 몇 가지 이론들을 반박하는 대목이 좋았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는 초협력 사회를 설명할 수 없다는 지적이 통렬하다. 마지막 챕터에서 스티븐 핑커의 <선한 천사>를 체계적으로 비판한다. 극심한 불평등은 폭력의 원천이기에, 인류가 다시 폭력의 시대를 맞이할 수도 있다는 저자에게 동의한다. 또한 인류의 진화과정에 대한 저자의 통찰은 분명 뛰어나다. 인류의 발전은 항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