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평 : 안나와디의 아이들 (캐서린 부, 반비 출판사)

이 책은 인도에서도 가장 가난한, 무허가 빈민촌인 안나와디 마을이 삶을 다루는 르포르타주이다. 안나와디의 생활상을 자세히 묘사하기 때문에, 마치 그들의 삶을 직접 경험한 것처럼 생생하다. 이 모든 이야기들이 실화라는 점을 상기하면, 가슴이 먹먹해지는 느낌이다. 이런 삶이 실제로 있다고? 


이 책의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중심 축은 두 가족이다. 

  • 압둘네 가족. 넝마주이 고물상이 주업이다. 생활력이 있어서 안나와디에서는 상대적으로 좋은 형편으로 살고 있지만, 옆집 여자와 시비 끝에 사망사고가 일어나자 그들의 삶은 풍비박산이 나버린다. 위기를 감지한 주변 사람들은 하이에나처럼 냄새를 맡고 찾아와서 돈을 뜯어내려고 한다. 그들이 축적한 손바닥만한 우위는 아주 위태로운 것이었다. 만감이 교차한다.
  • 아샤네 가족. 정치적 권력을 추구하는 아샤는 우여곡절 끝에 어떤 결실을 맺지만, 그것은 철저한 이기주의적인 방식이고, 마을의 복지 따위는 그들의 알 바가 아니다. 나름 양심적이고 엄마의 부정부패를 미워하는 순수한 대학생 딸인 만주조차, 급격한 생활수준의 향상을 경험하게 되면서 더 이상 양심을 따르지 않는다. 애초에 모두들 양심 따위는 없는데, 혼자서만 도덕적으로 생활해봐야 결과는 빈곤 뿐이니까.


예전에 읽었던 세 갈래 길에서도 엿볼 수 있었지만, 인도 빈곤층의 생활상은 정말 혀를 내두르게 한다. 하릴없이 시간을 보내다가 넝마주이를 해서 하루에 고작 몇 천원 벌어서 삶을 이어간다. 넝마주이 일 마저도 없으면 굶고 도둑질하는 수밖에 없는 비참한 삶이 너무 흔하다. 


안나와디 마을에 만연한 부정부패도 읽는 사람을 분노하게 한다. 빈곤은 구조적인 문제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기회만 되면 돈을 뜯으려는 사람들 천지이다. 특히 관공서 직원들과 경찰들이 그러한 일에 앞장서는 모습에서 참담함을 느낀다. 기부금이나 정책 지원금도 실무자 선에서 착복되는 일이 너무 흔하다. 이 나라가 제대로 되려면 어디서부터 고쳐야 할지 앞이 보이지 않는다. 


부정부패는 그 자체로 사람들에게 기회이기 때문에 근절될 수 없다는 작가의 말이 인상깊다. 내가 안 훔치면 누군가 훔칠 거기 때문에 신뢰할 이유조차 없는 것이다. 


안나와디 사람들도 우리와 똑같은 사람들일지도 모른다. 그들은 주어진 환경에서는 최선을 다해 살아나가는 것이다. 올바른 인센티브 구조를 가지려면, 신뢰에 기반한 사회적 자본을 축적해나가려면 어떻게 해나가야 할까. 이 책은 답을 주는 책은 아니다. 


  • 추신. 원제목은 "Behind the Beautiful Forevers"이다. 선뜻 와닿지가 않아서 찾아보니, 이 책에 등장하는 빈민촌은 "미관상"의 이유로 거대한 철제 광고판으로 가려져 있고, 그 광고판에 새겨진 문구가 바로 "Beautiful Forevers"라고 한다. 광고하는 물건은 고급 타일이라고 하는데, 영원한 아름다움이라는 문구가 빈민촌의 생활상과 대비되면서 극적으로 보인다. 


  • 추신2. 왜 이런 르포르타주는 영미권 작가들이 주로 쓰는 것일까? 인도 내에서는 이들의 삶을 주목하는 작가가 없는 것일까? 아니면, 영미권 작가가 쓴 책들이 아니면 우리가 주목하지 않는 것일까? 새삼 궁금해진다.


  • 추신3. 한국전쟁 직후 서울에도 수많은 무허가 판자촌이 있었다. 우리나라 빈민촌의 삶은 이 책에서 다루는 안나와디 마을과 얼마나 달랐을까?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뤄낸 성과는 정말 대단한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독서평 : 다른 의견 (이언 레슬리, 어크로스)

다짐 : 김대중 대통령을 본받는다.

문장읽기: 어린이 동화 읽기 - 아기돼지 삼형제 (4부, 완결)

노래부르기: 산타 루치아

노래부르기: Starai Con Me

만화읽기: Peanuts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