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인도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 안나와디의 아이들 (캐서린 부, 반비 출판사)

이미지
이 책은 인도에서도 가장 가난한, 무허가 빈민촌인 안나와디 마을이 삶을 다루는 르포르타주이다. 안나와디의 생활상을 자세히 묘사하기 때문에, 마치 그들의 삶을 직접 경험한 것처럼 생생하다. 이 모든 이야기들이 실화라는 점을 상기하면, 가슴이 먹먹해지는 느낌이다. 이런 삶이 실제로 있다고?  이 책의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중심 축은 두 가족이다.  압둘네 가족. 넝마주이 고물상이 주업이다. 생활력이 있어서 안나와디에서는 상대적으로 좋은 형편으로 살고 있지만, 옆집 여자와 시비 끝에 사망사고가 일어나자 그들의 삶은 풍비박산이 나버린다. 위기를 감지한 주변 사람들은 하이에나처럼 냄새를 맡고 찾아와서 돈을 뜯어내려고 한다. 그들이 축적한 손바닥만한 우위는 아주 위태로운 것이었다. 만감이 교차한다. 아샤네 가족. 정치적 권력을 추구하는 아샤는 우여곡절 끝에 어떤 결실을 맺지만, 그것은 철저한 이기주의적인 방식이고, 마을의 복지 따위는 그들의 알 바가 아니다. 나름 양심적이고 엄마의 부정부패를 미워하는 순수한 대학생 딸인 만주조차, 급격한 생활수준의 향상을 경험하게 되면서 더 이상 양심을 따르지 않는다. 애초에 모두들 양심 따위는 없는데, 혼자서만 도덕적으로 생활해봐야 결과는 빈곤 뿐이니까. 예전에 읽었던  세 갈래 길 에서도 엿볼 수 있었지만, 인도 빈곤층의 생활상은 정말 혀를 내두르게 한다. 하릴없이 시간을 보내다가 넝마주이를 해서 하루에 고작 몇 천원 벌어서 삶을 이어간다. 넝마주이 일 마저도 없으면 굶고 도둑질하는 수밖에 없는 비참한 삶이 너무 흔하다.  안나와디 마을에 만연한 부정부패도 읽는 사람을 분노하게 한다. 빈곤은 구조적인 문제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기회만 되면 돈을 뜯으려는 사람들 천지이다. 특히 관공서 직원들과 경찰들이 그러한 일에 앞장서는 모습에서 참담함을 느낀다. 기부금이나 정책 지원금도 실무자 선에서 착복되는 일이 너무 흔하다. 이 나라가 제대로 되려면 어디서부터 고쳐야 할지 앞이 보이지 않는다.  부...

독서평: 이름 뒤에 숨은 사랑 (줌파 라히리, 마음산책)

이미지
이름이 특이한 주인공 고골리. 고골리는 러시아 작가의 이름이고 아버지가 사랑하는 작가이지만, 그에게는 그냥 이상한 이름일 뿐이다. 그는 이름때문에 청소년기를 힘들게 보낸다. 그러나 그 이름에는 아버지의 큰 사랑이 담겨있음을 그는 뒤늦게 깨닫는다.  이름은 한 사람의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칠까? 자신의 이름을 싫어하는 삶이란 어떤 것일까? 고골리는 벼르고 벼르다가 개명을 하지만, 막상 새로운 이름이 낯설고 어색하다. 그토록 싫던 이름은 어느새 내 존재의 일부가 되어있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이 부르는 내 이름이 진짜 내 이름이다. 캘커타 출신의 이민자가 미국에서 삶을 꾸려가는 모습이 흥미롭다. 완전히 다른 환경 속에서 전통적 생활양식을 지켜나가지만, 자녀들은 미국인으로 자라난다. 이건 한국 교포들에게도 비슷할 것 같다. 고골리는 한동안 부유한 미국인 가족들과 동거하면서, 가족을 떠난 자유를 만끽한다. 그러나 아버지의 죽음은 그를 다시 가족 곁으로 불러들인다. 이 모든 과정에서 고골리가 느끼는 감정들은, 나도 한때 느껴본 것들이다. 고골리의 결혼이 실패하는 과정을 담담하게 묘사한다. 그의 아내는 영혼 어딘가에 구멍이 나 있다. 외도를 저지르는 자신을 혐오하면서도 멈출수가 없다.  고골리가 태어나기 전부터 성인이 된 후 까지 가족의 삶을 조명하는 방식이 좋다. 우리의 삶은 자꾸만 앞으로 나아간다. 어른들이 돌아가시고 아이들이 태어난다. 고골리가 아버지가 남기고 간 러시아 작가 고골리의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이야기가 마무리되는 것이 좋다. 결국 이 작품의 주제는 사랑이다.

독서평: 세 갈래 길 (래티샤 콜롱바니, 밝은세상 출판사)

이미지
3인의 여성의 삶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이야기. 삶을 향한 그녀들의 강력한 의지에 감동한다.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도의 불가촉천민 스미타. 읽기 시작하자마자 강렬하게 다가오는 인물. 맨손으로 남의 집 똥을 치워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그녀의 비참한 현실도 더 나은 삶을 향한 의지는 막을 수 없다. 가장 응원했던 인물인데 마지막이 좀 아쉬웠다. 캐나다의 여성 변호사 줄리아. 아이 셋을 건사하면서도 커리어를 지켜나가지만, 어딘가 그녀의 삶은 외줄타기 같은 면이 있다. 마침내 위기가 찾아오고 모든 것이 위태로운 순간에도 그녀는 절대 무너지지 않는다. 강철같은 의지에 감탄한다.  이탈리아의 당찬 소녀 줄리아. 공방에서 일하면서 낭만적인 사랑에 빠지지만, 갑작스럽게 사장이 되어야 한다. 주변 모든 사람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개혁을 시작하는 모습이 멋지다.  이 작품이 흥미로운 이유는 전혀 다른 세상 속에 살고 있는 이 여성들의 삶이 이어져 있고, 그로 인해 그들이 서로를 지지하는 것처럼 작용한다는 것이다. 종장에 이르러 마침내 이 얽힘을 깨닫는 순간 인생이 아름답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