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빈곤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 안나와디의 아이들 (캐서린 부, 반비 출판사)

이미지
이 책은 인도에서도 가장 가난한, 무허가 빈민촌인 안나와디 마을이 삶을 다루는 르포르타주이다. 안나와디의 생활상을 자세히 묘사하기 때문에, 마치 그들의 삶을 직접 경험한 것처럼 생생하다. 이 모든 이야기들이 실화라는 점을 상기하면, 가슴이 먹먹해지는 느낌이다. 이런 삶이 실제로 있다고?  이 책의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중심 축은 두 가족이다.  압둘네 가족. 넝마주이 고물상이 주업이다. 생활력이 있어서 안나와디에서는 상대적으로 좋은 형편으로 살고 있지만, 옆집 여자와 시비 끝에 사망사고가 일어나자 그들의 삶은 풍비박산이 나버린다. 위기를 감지한 주변 사람들은 하이에나처럼 냄새를 맡고 찾아와서 돈을 뜯어내려고 한다. 그들이 축적한 손바닥만한 우위는 아주 위태로운 것이었다. 만감이 교차한다. 아샤네 가족. 정치적 권력을 추구하는 아샤는 우여곡절 끝에 어떤 결실을 맺지만, 그것은 철저한 이기주의적인 방식이고, 마을의 복지 따위는 그들의 알 바가 아니다. 나름 양심적이고 엄마의 부정부패를 미워하는 순수한 대학생 딸인 만주조차, 급격한 생활수준의 향상을 경험하게 되면서 더 이상 양심을 따르지 않는다. 애초에 모두들 양심 따위는 없는데, 혼자서만 도덕적으로 생활해봐야 결과는 빈곤 뿐이니까. 예전에 읽었던  세 갈래 길 에서도 엿볼 수 있었지만, 인도 빈곤층의 생활상은 정말 혀를 내두르게 한다. 하릴없이 시간을 보내다가 넝마주이를 해서 하루에 고작 몇 천원 벌어서 삶을 이어간다. 넝마주이 일 마저도 없으면 굶고 도둑질하는 수밖에 없는 비참한 삶이 너무 흔하다.  안나와디 마을에 만연한 부정부패도 읽는 사람을 분노하게 한다. 빈곤은 구조적인 문제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기회만 되면 돈을 뜯으려는 사람들 천지이다. 특히 관공서 직원들과 경찰들이 그러한 일에 앞장서는 모습에서 참담함을 느낀다. 기부금이나 정책 지원금도 실무자 선에서 착복되는 일이 너무 흔하다. 이 나라가 제대로 되려면 어디서부터 고쳐야 할지 앞이 보이지 않는다.  부...

뉴스읽기 #14 : 빈곤층 관련 사회 뉴스

이미지
 Ciao! 오늘은 사진이 흥미로운 뉴스를 골라봤습니다. 단어도 조금 친숙해보이는 것들이 있어서요. 아마 사회면에 나올 것 같은 내용인 듯합니다. 오늘의 뉴스를 같이 보시죠! CARITAS Quasi un italiano su 10 in povertà assoluta, toccate quasi 5,7 milioni di persone Con "il passaggio alle nuove misure contro la povertà, Assegno di inclusione e Supporto alla Formazione e al lavoro (che tra il 2023 e il 2024 hanno sostituito il Reddito di Cittadinanza)" sono rimasti "senza supporto 331.000 nuclei" 이 뉴스는 맥락을 다 알지 못해서 좀 더 어려운 느낌입니다. 그래도 사진과 povertà라는 단어로 미루어볼 때 빈곤층 문제라는 것은 짐작이 됩니다. 어느 정도 감을 잡고 읽어볼 수 있겠습니다. 좀 자세히 읽어보겠습니다. CARITAS : 몰라요 Quasi : 거의 un italiano su 10 : 이탈리아인 10명중 하나 in povertà assoluta : 가난한 계층? toccate quasi 5,7 milioni di persone : 5.7만명이나 된다? Con : with "il passaggio로 시작하는 따옴표 구간" : 잘 모르겠는데 무슨 보고서 제목 같아요. sono rimasti : 라고 말한다. "senza supporto 331.000 nuclei" : 두번째 따옴표 구간은 도와줄 사람이 없는 331,000명의 1인가구라는 뜻 같아요. 보고서 제목이 좀 궁금하지만,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제가 써놓은 것이 몇 군데 자신은 없지만, 어차피 제가 이탈리아어를 계속 공부한다면 정답을 알게 됩니다. 너무 열심히 하면 안됩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