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읽기 #18 : 트럼프가 우크라이나 지원을 중단

이미지
Ciao! 오늘도 뉴스를 읽어보겠습니다. 아무래도 계속 정치 쪽으로 눈이 갑니다. 잘 아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맥락을 알고 있으면 모르는 단어들도 추정해낼 수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를 같이 보시죠! 요즘 뉴스를 보시면 잘 아시겠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과 언쟁을 벌이는 사건이 있었죠. 그 후에 벌어진 일에 대한 뉴스인 것 같습니다. 그럼 문장들을 읽어보겠습니다. LA GUERRA IN UCRAINA 우크라이나 전쟁. 저는 guerra라는 단어를 모르지만 맥락 상 전쟁 아니겠어요? Trump sospende tutti gli aiuti militari a Kiev, 트럼프가 키에프를 위한 모든 군사 지원을 중단했다. sospende는 소리내어 읽어보면 영어의 suspend와 비슷하잖아요. 뉴스의 맥락도 있어서 중단으로 짐작합니다. militari도 마찬가지로 쉽죠. "Zelensky non durerà a lungo" 젤렌스키는 오래가지 못할 것 durera는 영어의 during 느낌이라서 추정해봤습니다. Ora è ufficiale. Il presidente degli Stati Uniti Donald Trump ha ordinato una pausa negli aiuti militari americani all'Ucraina, ha dichiarato un funzionario della Casa Bianca:  이제 오피셜이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우크라이나를 위한 미국의 모든 군사 지원의 중단을 명령했다. 백악관에서 선언했다? ha ordinato는 현재완료 형이죠. ordinato는 영어의 order랑 비슷하잖아요. 대통령이 할 만한 행동이 명령니까, 명령으로 추정. una pausa : 영어에도 pause란 단어가 있으니까. 맥락의 도움을 받아 중단으로 짐작. ha diciarato : 소리내서 읽어보니까 영어의 declare같네요. 근데 그 다음 단어는 모르겠지만요. "Stiamo facen...

독서평 : 그린라이트 (매튜 맥커너히, 아웃사이트 출판사)

이미지
연기파 배우 매튜 맥커너히가 책을 썼다. 자서전처럼 어린 시절 이야기나 처음 배우가 되던 때, 고뇌하던 시기의 이야기를 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개인의 철학을 말하고 싶어서 쓴 책이라고 생각한다. 본인의 삶을 단단하게 지지하는 기둥과 같은 철학들을 읽으며, 그를 이해하고 어떤 철학은 귀중하게 받아간다. 동감하지 않더라도 생각해볼 가치가 충분한 내용들이니 읽는 재미가 있다. 훌륭한 책이니 고민 없이 펼쳐들어도 좋다. 내가 읽으면서 좋아했던 구절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체벌을 받는 즉시, 교훈을 얻은 것을 축하하기 위해 치즈버거와 밀크셰이크 가게로 간다. (36) 자녀를 엄하게 체벌하되, 그것이 훈육임을 주지시키는 훌륭한 방법이라고 생각. 당신이 행운을 믿는다면, 당신은 신을 믿는 것이다. (63) 이 문구는 공감한다기 보다는 그냥 마음에 들었다. 원하라. 필요로 하지 말라. 그래야 쿨할 수 있다. 절박함의 냄새는 기가 막히게 퍼진다. (157) 드라마를 지어내지 마라. 드라마는 저절로 생겨난다. (201) 인생에 드라마가 없다고 생각하는가? 아직 그 때가 안 온 것 뿐. 르네상스인은 어딜 가든 집처럼 편하다. (221) 맥커너히는 본인이 르네상스인이라고 말한다. 르네상스인이란 무엇일까? 책을 읽어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나도 르네상스인이 되고 싶은걸. 무법자는 변두리에 살지 않는다. 한복판에 산다. 어떤 짓을 저지르고 처벌을 모면하는 것이야말로 필요한 기술이다. (240) 여기는 약간 오해가 있을 수 있는 대목인데.. 범법자가 되라는 의미가 아니라, 법을 어기는 것을 무릅쓰는 대범함을 말하는 것이다.  가끔은 선택을 하는 것보다, 그 선택에 전념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254) 철저하게 동감한다. 고민하면서 인생을 허비하는 것보다는 어떤 선택을 하고 거기에 전념해보는 것이 분명 필요하다. 설령 그 선택이 틀렸다고 할지라도, 귀중한 경험이 남는 것이다. 죄책감은 오만이다. 자신을 죄인의 위치에 놓고 잘잘못이 뭔지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오만...

다짐 : 이병철 회장을 본받는다.

<호암자전>을 읽고, 호암 이병철 회장을 본받고자 한다. 원래 금수저였다고는 하지만 위대한 기업을 만들어낸 인물에게 반드시 배울 점이 있다. 그것을 내 것으로 만들어 인생을 재미있게 살아가자. 세상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파악하겠다. 새로운 사업을 위해 전국 각지는 물론 만주, 북경까지 가능한 모든 곳을 여행하면서 세상을 둘러보신 일은 정말 모범이 된다. 대한민국이 빈곤의 늪에서 허덕이는 현실과, 세계가 어떤 모습인지를 관찰한 후 내린 결론은 설탕, 모직 등 내수산업이었다. 국민 생활 수준의 향상은 물론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결정은 경영의 정석이었다.  지금 내가 살아가는 세상, 대한민국과 세계는 어떤 모습인가. 너는 많은 정보를 접하고, 많은 책을 읽겠지만, 그것을 통찰로 변화시켜 끌어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숫자를 사용하여 추론하겠다. 비료공장을 세계최대로 짓는다고 했을때 모두들 미쳤다고 했지만, 이병철 회장은 국내 경작면적, 비료사용량은 물론 국제 비료사용량까지 조사해 승산이 있다고 판단했고 그것은 적중했다. 실제 숫자에 근거했기 때문이다.  내가 추진하는 사업에서 숫자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그 숫자는 어림짐작이 아니라 실제 통계나 직접 파악한 숫자여야 한다. 말로만 듣는 숫자 말고 크로스체크 가능한 숫자여야 한다. 사업에서 장기적 관점을 갖겠다. 그의 사업계획은 20~30년은 기본 스케일로 생각했다. 나의 사업계획 또한 장기적으로 유지가능한지를 생각해야 한다. 현실주의자가 되겠다. 그는 현실을 직시했다. 일본과 철천지 원수라는 인식이 팽배할 시기에도 반드시 머지않은 장래에 일본과의 무역이 활발해진다고 확신했다. 감정적으로 판단하지 않았다. 허송세월한 것을 후회하지 않겠다. 그도 항상 성공한 것만은 아니였다. 젊은 시절, 일본 유학에서 건강악화로 돌아온 후에는 도박으로 3년 이상을 허비했다. 그러나 그에 대한 그의 생각이 인상적이다.   그 10년이 낭비였는지 아닌지, 그것은 10년 ...

만화읽기: Peanuts #16

챠오Ciao! 만화를 읽어보겠습니다. 귀여운 그림을 보면서 즐거운 마음으로 말을 배울 수 있습니다. 오늘 만화는 일부러 모르는 단어가 많은 편으로 골라봤습니다.  https://www.ilpost.it/2025/03/04/peanuts-2025-marzo-04/ 언제나처럼 그림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이 포스팅에서는 대사들만 같이 읽어보겠습니다. "STAVO PENSANDO AL TUO PROBLEMA, CAPO" "MAGARI TI ADDORMENTI IN CLASSE PER VIA DI UN ASTIGMATISMO NON CORRETTO..." "AH, CERTO! TI PIACEREBBE VEDERMI CON GLI OCCHIALI, VERO, MARCIE?" "ALCUNE DI NOI PENSANO DI ESSERE PIUTTOSTO CARINE CON GLI OCCHIALI, CAPO!" 안경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것 같은데요.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이 적절하게 섞여 있어서 도전 의욕을 자극합니다. 너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봤는데요, 대장 너는 수업에서 정확하게 못본다...  더 복잡한 말인 것 같지만 해석을 못하겠어서 이정도만 읽어냅니다. 아 그래! 너는 안경으로 나를 보는 것을 좋아하지, 맞지, 마르시에? alcune..우리가 생각하는... 안경으로 예쁘게 보이는?  무슨 대화인지 정확히 알고 싶지만, 노력은 하기 싫군요. 그냥 상상만 해보고 넘어갑니다. 그게 저의 방법이니까요. 이 대사들과 이 상황들은 다른 곳에서 다시 만날 것입니다. 게으르게 열심히 해봅니다. Buona Fortuna!

독서평 : 남극으로 걸어간 산책자 (엘링 카게, 다른 출판사)

이미지
걷기에 대해 말하는 에세이. 편하게 읽기 좋은 문체이면서도 간결하게 걸어야 할 이유들을 말해 준다.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그냥 책을 덮어두고 나가서 걷고 싶은 생각이 든다. 저자의 이야기를 듣고 내가 실천해보고 좋았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산책할 때는 목적지가 있으면 안된다. 목적지가 있으면 산책이 아니다. 산책할 때는 이어폰을 끼면 안된다. 걷는 과정에서 모든 감각을 활용해야 한다. 생각할 일이 많아 머릿속이 복잡하면 걸어야 한다. 몸이 움직여야 생각이 잘된다. 악천후에 걸어야 한다. 차가운 빗속을 힘들게 걷고 따뜻한 집에 돌아왔을 때의 행복감이란.  저자가 말하는 걸어야 할 이유들 중에서 내게 울림이 있었던 문장들을 소개해 보고 싶다. 걸을 때 삶은 길어진다. (23) 걸을 때는 시간이 더디게 흐른다. 인생이 너무 빨리 지나가버린다고 느껴지면 걸어보면 어떨까? 무언가를 경험하지 않고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은 어리석다. (32) 걷는 것은 경험 그 자체이니까. 우리는 걷기 위해 존재하는지도 모른다. (34) 철학적 의미에서도, 과학적 의미에서도, 걷는 행위는 인간의 필수요소이다. 나는 걷기 때문에 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38) 걷는 것은 참여하는 것, 사람들 속에 섞여들어가 (49) 우리는 온 몸으로 생각한다. (78) 걷는 것 자체가 생각하는 과정이다. 우리는 뇌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몸 전체를 사용해서 생각하는 것이니까. 고통과 기쁨은 너무나 깊게 얽혀있어서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98) 궂은 날씨에 산책하지 않는 것은 삶의 경험을 반쯤 포기하는 것이다. (100) 편안함은 불편을 피하는 것이고, 동시에 좋은 경험을 잃는다는 것이다. (101) 걸어서 해결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한 문제는 없다. (120) 고민이 있을 때는 걸어보자. 앞으로 얼마나 더 가야하나 궁금해하는 순간, 행복이 사라졌다. (142) 걸을 때 목적을 정해두면 산책이 아니다. 

문장읽기: 엘레나 페란테의 책읽기 #7

이미지
Ciao! 오늘도 무작정 읽기입니다. 언제나처럼 완벽하게 읽어낼 수는 없지만 읽는 겁니다. 오늘은 아는 단어도 많고 대화 장면도 있는 페이지를 찍어봤습니다. 같이 한번 읽어보시죠! 문장이 길어보이지만 아는 단어들을 의지해서 읽어보겠습니다. A noi invece, quando stavamo per finire la quinta, fu comunicato che eravamo fatte per continuare a studiare.  대신 우리에게는, quinta를 끝낼 때, 공부를 계속하기로 소통했었다? La maestra chiamò a turno i genitori miei, di Gigliola e di Lila per dir loro che assolutamente dovevamo sostenere, oltre che l'esame di lielementare, anche l'esame di ammissione alla scuola media.  선생님이 우리 내 부모님과, 지룔라와 릴라의 부모님을 불러서 싸움을 멈춰야 하고, 아니면 유급시키고... 학교 신문에 공고하겠다? Io le studiai tutte per fare in modo che mio padre non mandasse dalla maestra mia madre, claudicante, con l'occhio ballerino e soprattutto sempre rabbiosa, ma ci venisse lui, che era usciere e sapeva usare modi cortesi.  나는 모든 걸 공부했고 아빠는 화났고 엄마는 claudicante했는데 발레리노와.... (모르겠음) Non ce la feci. Andò lei, parlò con la maestra e tornò a casa molto cupa. 할게 없었다. 그녀에게 가서, 선생님과 대화하고 집에 매우 cupa해서 돌아왔다. «La maestra vuole soldi. Dice ...

독서평 : 초협력사회 - 전쟁은 어떻게 협력과 평등을 가능하게 했는가 (피터 터친, 생각의힘 출판사)

이미지
이 책이 인류의 진화를 설명하는 방식이 흥미롭다. 인류의 진화 과정의 핵심 동인으로 지리, 제도를 생각해왔는데 이 책에서는 전쟁을 주된 동인으로 설명해주고 대단히 설득력이 있다.  인 류의 역사를 하나의 키워드로 엮어 설명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었다.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지리적 환경'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총, 균, 쇠』를 썼고, 대런 아제모글루와 제임스 A. 로빈슨은 '제도'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를 썼다. 이 책 『초협력사회』에서 터친은 '전쟁'이라는 키워드로 인류의 역사를 바라본다.  터친에 따르면, 인류가 거대한 협력체계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도, 그리고 인류가 오랜 평등의 시기를 마친 후 극도의 불평등 시기를 거치고 또다시 평등한 시대를 열게 된 것도 전쟁 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 전쟁이 인류의 진화 방식 자체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발사식 살상무기로 인해 알파 수컷은 사라지고 협력해야 할 이유가 강화된 것이다. 협력하지 않는 부족은 전쟁을 이길 수 없으니까.  소부족간 전쟁을 우습게 보지 마라. 패하는 부족은 동화흡수되는 형태의 절멸을 겪는다. 병력수와 전투력, 사상자로 인한 전투력의 감소를 생각하면 수적 우위의 제곱만큼 상대방에게 사상자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쟁을 위해 소부족을 넘는 거대한 국가의 필요가 생겨난다. 그런데 거대화를 하고 싶어도 신뢰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냐? 여기서 종교 등장! 아무리 모르는 사람이라도 같은 신앙인이라면 믿고 보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잘 알려진 몇 가지 이론들을 반박하는 대목이 좋았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는 초협력 사회를 설명할 수 없다는 지적이 통렬하다. 마지막 챕터에서 스티븐 핑커의 <선한 천사>를 체계적으로 비판한다.  극심한 불평등은 폭력의 원천이기에, 인류가 다시 폭력의 시대를 맞이할 수도 있다는 저자에게 동의한다. 또한 인류의 진화과정에 대한 저자의 통찰은 분명 뛰어나다.  인류의 발전은 항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