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평 : 사랑의 역사 (니콜 크라우스, 문학동네)
간결하면서도 감각적인 문체가 시적인 느낌을 주는 듯하여 마음에 든다. 3개의 이야기축이 전개되어 초반에는 다소 어리둥절했다. 이야기의 얼개를 깨닫기까지는 좀 읽기 어렵다는 느낌이다. 그래서 <사랑의 역사>라는 책을 쓴 작가는 누구인걸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책을 읽으면서 3개의 이야기가 연결되어 완성되는 것을 깨달으면 그저 감탄만 나온다. 레오폴드 거스키는 앨마 메러민스키와 사랑하지만 2차대전의 격동속에 생이별하고 미국에서 재회했을때는 이미 앨마가 다른 사람과 결혼한 후. 그녀를 향한 소설을 썼는데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원고를 잃어버렸다. 그의 아들을 멀리서만 지켜볼 수밖에 없고... 거스키가 만들어낸 책을 표절하게 되는 다른 작가는 레오의 친구이다. 그의 이야기가 초반부터 병치되어서 읽는 사람을 헷갈리게 만든다. 그에게도 그럴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긴 했다. 어쨌든 그는 레오의 원고를 세상에 알려지게 도와준 셈이다. 앨마라는 이름을 이어받은 여자아이. 그녀의 아버지가 레오의 원고로 출판된 소설을 읽고 감명을 받아 딸에게 앨마라는 이름을 준다. 그녀는 어느 날 소설 속의 앨마가 실존인물임을 깨닫고 그녀를 추적하면서 진실을 만나게 되는데... 앨마의 동생 버드는 너무나 귀엽다. 자신이 세상에 36인밖에 없는 라메드보브닉이라고 믿는 이상한 아이. 마지막에 버드가 다리를 놔주어 레오폴드 거스키와 앨마 싱어가 만나는 장면이 클라이막스이다. 서로 생면부지의 타인이지만 <사랑의 역사>라는 책을 속속들이 알기에 누구보다 서로를 잘 아는 이상한 만남이 왜 이렇게 아름다운지 모르겠다. 사랑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체감했다고 말하고 싶지만 말로 설명할 수가 없다. 책을 덮고도 여운이 가시지 않는다. 이 책을 만나서 기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