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중국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 원청 잃어버린 도시 (위화, 푸른숲 출판사)

이미지
간결한 문체로 속도감있게 전개하지만 묘사력도 뛰어나다. 엇갈리는 인연 속에서도 사랑은 빛난다. 올바른 삶을 사는 사람에게는 사랑이 찾아온다. 청말기 중국 인민들의 삶을 지켜보는 재미가 있다. 시진의 풍경과 그 속의 사람들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선량한 사람들도 있고, 의리를 목숨처럼 지키는 사람도 있으며, 혼란에 빠져 부유하는 사람, 사악한 사람들도 있는 것이다.  **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주인공 린샹푸는 고지식한 사람이고 우유부단하여 배우자를 찾지 못하고 있지만, 사랑은 정말 교통사고같이 찾아온다. 그 사랑에 진심을 다했지만 여자는 수상한 기색이 다분했고 금괴를 훔쳐 도망치기까지 한다. 주인공의 어리숙함에 탄식하면서, 처음부터 의심했어야지, 그렇게 마음을 통째로 내어주면 어떡하냐고 발을 동동구르면서 읽었다. 그렇지만, 그 후에 펼쳐지는 린샹푸의 삶을 보면서 마음을 달리 먹게 된다. 상대가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내 사랑이 진심인 것이 중요한 것이다. 린샹푸의 삶이 그것을 입증해 보인다. 후반부에서는 토비와의 전쟁이 묘사되는데, 그 잔혹함에 대한 묘사가 지나쳐서 읽기 힘들었다. 이 소설의 주제와 전체적인 스토리의 흐름에 비추어서도 분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의아했다. 저자는 토비의 잔혹함과 그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다가 결국은 분연히 일어나 물리치게 되는 민초들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다. 오늘 이 책을 읽는 현대 중국인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주고 싶은 걸까?  마지막 챕터에서 여인의 시점으로 이야기를 풀어준 것은 다소 식상한 느낌은 있었지만 이야기를 이해하기에는 더 좋았다. 아창을 사랑하기도 하고 린샹푸를 사랑하기도 하며, 만날 수 없는 딸을 사무치게 그리워하는 심정을 잘 묘사했다. 두 사람을 모두 사랑하는 마음이야말로 진실에 가까운 것임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든다.

독서평: 1945 중국, 미국의 치명적 선택 (리처드 번스타인, 책과함께 출판사)

이미지
이 책은 2차대전 무렵,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정책을 돌아보는 책입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그 시절 미국은 정말 세계 최고의 국력과 그에 어울리지 않는 미숙함을 보여줍니다. 미국이 좀 더 지혜롭게 행동했더라면, 동아시아의 미래는 지금과 많이 달랐을까요? 미국은 국제관계를 도덕적인 판단기준, 정의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갖는데, 미국의 수많은 외교 실패가 여기에서 기인한 것입니다. 이 책에서 다루는 미국과 중국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책을 한번 읽어보세요. 역사에 돋보기를 들이대면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쏟아집니다. 제가 재미있었다고 느끼는 관전 포인트를 몇 가지 공유드립니다.   1. 국공내전 시절의 중국은 그야말로 엉망진창이었다.  1930년대 초에 중국 농촌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던 영국 사회학자 리처드 헨리 토니Richard Henry Tawney는 전형적인 중국 농민을, 목까지 차는 물속에 서 있어 "잔물결이 한 번만 일어도 곧바로 익사할 수 있”는 사람에 비유했다. 그리고 20세기 전반기에는 잔물결이 자주 일었다. “당신은 무엇 때문에 고향에서 이렇게 먼 곳에 와서 살고 있습니까?" 토니가 한 농민을 면담하면서 묻자 이런 대답이 돌아왔다. "비적들, 병사들, 그리고 기근 때문이죠." 2. 공산당은 정말 사악한 집단이다. 공산당의 거짓말과 생떼는 정말 징그럽다.  공산당의 기만은 정말 치가 떨린다. 상대방 말에 다 수긍해주면서 뒤로 딴짓하기. 스탈린이고 마오쩌둥이고 김일성이고 다 똑같다.   가장 온화해 보이는 공산주의자조차 냉혈한이다. 저우언라이는 암살대를 운영한 잔혹한 면도 있었다. 그해 연말께 마셜이 트루먼에게 자신은 더 이상 중재 노력을 계속할 이유가 없다는 말을 꺼내기 시작했을 때, 가장 큰 이유로 "거짓말과 격렬한 공격으로 점철된 공산당의 악랄한 선전을 지적했다. 에드가 스노의 <중국의 붉은 별>에 대한 비하인드가 충격적이다.  그 자신은 진실했을지언정 사실은...

독서평: 쌍전 (류짜이푸, 글항아리)

이미지
독서에서 얻는 가장 큰 소득은 내 생각을 뛰어넘는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것이다. 물론 그런 책은 많지 않다. 그런데 이 책이 바로 그런 책이다. - 삼국지와 수호전이 얼마나 매력적인 작품인지. 그러나 그 매력 때문에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버리는 두 작품 속의 독소를 우리는 알고 있을까? - 류짜이푸는 두 작품이 중국에서 경전의 경지에 오를 정도로 숭앙받는다고 하여 이들을 쌍전이라 칭한다. 이 쌍전이 중국을 정신적으로 통치하고 있으며, 중국에는 <삼국지 인간>과 <수호전 인간>이 넘쳐난다고 말한다.  - 삼국지와 수호전이 얼마나 큰 악영향을 미쳤는지 조목조목 비판해준다. 두 작품의 인물들과 장면들을 세밀하게 해부하면서 비판하는데, 그 논지는 다분히 서구적이지만 반박이 어려울 정도로 논리정연하다.  수호전의 문제 : 잔혹한 폭력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며, 영웅시한다 삼국지의 문제 : 권모술수, 속임수를 미화하고, 공사구분을 못하는 의리를 미화한다 그리고 두 작품의 공통점 : 극심한 여성비하 - 의구심을 가져본 적 없는 영웅들과 그들의 명장면들이 새롭게 재해석된다. 삼국지를 냉정하게 바라보게 되었다. 그리고 삼국지를 읽으면서 미묘한 위화감을 느꼈던 이유를 알게 되었다. 수호전은 제대로 읽은 적은 없는데 차라리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마오쩌둥은 쌍전의 정신을 실제로 구현하여 성공한 인물이다. 마오쩌둥은 마르크스 주의자를 자처하지만 실상 그를 움직인 근본 동력은 '반역은 정당하다', '도원결의', '권모술수'와 같은 쌍전의 정신이다. 중국인들이 마오쩌둥을 숭배하는 이유가 이 때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