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인공지능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매끄러운 세계와 그 적들 (한나 렌, 엘리 출판사)

이미지
정세랑 작가님이 천재라고 하셔서 읽음. 읽어보니 천재가 맞았습니다. 여섯 편의 단편이 모두 창의적이고 기발하면서 완성도가 있다. 물리법칙을 비틀어서 만들어내는 설정에 감탄한다. 테드 창 이후로 이렇게 감탄하면서 읽은 작품이 또 있었을까. SF팬이라면 강추합니다.  <매끄러운 세계와 그 적들> 표제작. 왜 천재라고 했는지 알것같은 설정. 모두들 매끄러운 세계에서 산다는 것은 멀티태스킹에 쩔어서 사는 요즘의 우리들을 비유한 것 같다. 주인공은 결국 그 감각을 제거하는 선택을 하고 진정한 우정을 찾는다. <제로연대의 임계점> 너무 인상적이다. 신문기사 헤드라인 수준의 간략한 서술로 SF여성작가 3인의 삶을 그려냈다. 아무나 할 수 없는 작품이다.  <미아하에게 건넨 총> 이건 정말 천재적인 작품 아닌가? 뇌를 마음대로 편집할 수 있는 능력이 나온다면, 모든 전제가 뒤집힌다. 사랑이란 감정조차 그러한가. 압도적이다.  <홀리 아이언 메이든> 인간을 강제로 선하게 만드는 능력을 가진 언니와, 그 언니의 힘을 피해 살아남은 동생. 언니가 세상을 바꿔나가는 모습은 공포 그 자체다. 이것도 천재적이다.  <싱귤래리티 소비에트> 냉전 시기에 인공지능이 특이점을 넘어섰다는 설정. 인공지능의 꼭두각시가 되어버린 소련과 미국. 소련은 승리하고 인류는 어떻게 되는건지 기괴한 상상의 현실. 천재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빛보다 빠르게, 느리게> 상대성 이론, 타임 스케일로 이런 세계를 만들어내나. 나와 다른 시간을 살아가는 상대는 영원히 나와 분리된다는 것. 반전도 있고 해피엔딩도 내 스타일이다. 읽으면서 천재라는 말을 너무 많이 하는 것 같다.

독서평: 라이프 3.0 (맥스 테그마크, 동아시아)

이미지
라이프 3.0이 무엇인지, 한번 알고 나면 잊기 힘들다. 라이프1.0은 그냥 유전자대로 사는 것.  주로 동물들이 이런 삶을 산다. 라이프2.0은 주어진 환경을 학습하여 소프트웨어적인 개선을 하는 것.  우리는 현재 이런 삶을 살고 있다. 라이프3.0은 하드웨어까지도 개선하면서 존재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  육체마저도 개조하는 미래가 올까? - 우리의 의식은 물질의 파동과 같은 것이라는 고찰이 매우 좋다.  - 지능은 구성물질과 관계가 없는 것이라는 통찰.  - 물질 자체는 존재를 규정할 수 없고, 그 물질이 일으키는 상호작용 이 존재의 본질 이라는 것. - 기억한다는 것, 배운다는 행위를 무기물 차원에서 다시 고찰한 부분도 매우 좋았다.   - 도입부가 무척 재미있다. 가상이지만 프로메테우스라는 인공지능이 이미 인류 전체를 통제하고 있었다는 이야기. 읽고 나면 생각이 많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