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평 : 지식의 착각 (스티븐 슬로먼, 필립 페른백, 세종서적)

< 다른 의견 >이라는 책에서 반드시 다른 사람들과의 논쟁과 대립을 통해서만이 진실을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 책은 그러한 관점을 또 한 번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책에서 말하는 핵심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 지능은 세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는 것입니다. 조금 더 설명해보겠습니다. 1. 우리는 주변을 둘러 싼 세계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세계와 타인에 의지해 학습하고 상호작용해 사실을 알아내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인간의 방식이다. (296) 인간 개인은 생각보다 멍청하다. 그러나 집단지성을 동원할 줄 알기에 인간이 똑똑한 것이다. 우리의 신념은 개인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공동체에서 공유하는 것을 받아들인 것이다. (212) 우리를 둘러 싼 제도와 무형의 가치들도 우리가 만들어 낸 것이다. 집단이 믿으니까 가치가 생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산에 대한 독점적 권리는 모두가 같은 것을 믿어야 실체가 생기는 것이다. 2. 우리는 세계가 있어야 작동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고 기억하는데 몸을 사용한다. 따라서 몸이 없는 뇌는 생각하고 기억할 수 없다. 마음은 뇌에 없다. 그보다는, 마음에 뇌가 있다. 마음이 뇌를 포함한 여러 정보를 사용해서 정보를 처리한다.(140) 한걸음 더 나가볼까? 이 세계 전체가 기억장치이자 사고 과정의 일부이다. (143) 즉, 세계는 우리의 컴퓨터인 것 이다. 우리 머리 속에 계산기가 있는 것이 아니다. 세계 자체가 계산기니까. 우리는 세계에 관한 사실을 정보화하여 처리한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 그 자체가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날아오는 공을 잡으려고 달려가는 사람은 공의 궤적을 계산해서 낙하지점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공의 위치를 광학적 단순화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두 기둥 사이를 충돌 없이 통과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중앙으로 이동하면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그것을 어떻게 아는가? 시각으로 광학적 흐름을 받아들여 판단할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