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회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 지식의 착각 (스티븐 슬로먼, 필립 페른백, 세종서적)

이미지
< 다른 의견 >이라는 책에서 반드시 다른 사람들과의 논쟁과 대립을 통해서만이 진실을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 책은 그러한 관점을 또 한 번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책에서 말하는 핵심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 지능은 세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는 것입니다. 조금 더 설명해보겠습니다. 1. 우리는 주변을 둘러 싼 세계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세계와 타인에 의지해 학습하고 상호작용해 사실을 알아내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인간의 방식이다. (296) 인간 개인은 생각보다 멍청하다. 그러나 집단지성을 동원할 줄 알기에 인간이 똑똑한 것이다. 우리의 신념은 개인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공동체에서 공유하는 것을 받아들인 것이다. (212) 우리를 둘러 싼 제도와 무형의 가치들도 우리가 만들어 낸 것이다. 집단이 믿으니까 가치가 생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산에 대한 독점적 권리는 모두가 같은 것을 믿어야 실체가 생기는 것이다. 2. 우리는 세계가 있어야 작동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고 기억하는데 몸을 사용한다. 따라서 몸이 없는 뇌는 생각하고 기억할 수 없다. 마음은 뇌에 없다. 그보다는, 마음에 뇌가 있다. 마음이 뇌를 포함한 여러 정보를 사용해서 정보를 처리한다.(140) 한걸음 더 나가볼까? 이  세계 전체가 기억장치이자 사고 과정의 일부이다. (143) 즉, 세계는 우리의 컴퓨터인 것 이다. 우리 머리 속에 계산기가 있는 것이 아니다. 세계 자체가 계산기니까. 우리는 세계에 관한 사실을 정보화하여 처리한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 그 자체가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날아오는 공을 잡으려고 달려가는 사람은 공의 궤적을 계산해서 낙하지점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공의 위치를 광학적 단순화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두 기둥 사이를 충돌 없이 통과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중앙으로 이동하면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그것을 어떻게 아는가? 시각으로 광학적 흐름을 받아들여 판단할 수 있는 ...

독서평 :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대런 아세모글루, 제임스 A. 로빈슨, 시공사)

이미지
202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세모글루 교수의 대표작입니다. 다른 책들도 다 좋지만, 저는 이 책을 꼭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잘되는 나라는 왜 잘되고, 안되는 나라는 왜 안되는지를 말하는 책입니다. 저자의 의견에 매우 공감합니다. 한국 또한 남한과 북한이라는 생생한 비교가 가능한 조건이죠. 남한의 성공은 어디에서 기원하는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라는 피상적인 구분보다 저자의 설명을 들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우리 나라 정치인들이 모두 이 책을 읽는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1. 성공과 실패의 피드백 구조 포용적 정치체제와 포용적 경제체제는 상호 선순환을 일으킨다. 선순환에 따른 변화는 점진적이어서 더 강력하고 거부하기 어렵다. 착취적 정치체제와 착취적 경제체제도 마찬가지로 악순환으로 서로를 강화시킨다.    2. 성공의 우발성 저자는 반복적으로 우발성을 강조한다. 포용적 제도를 갖게된 것은 다양한 세력이 상호견제할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되었기 때문인데, 저자는 그 출발 자체는 우연일 수 밖에 없다는 인식을 갖고있다.  흑사병을 계기로 동유럽과 서유럽의 분기가 발생한 사례를 들어, 동일한 사건으로부터 다른 결과가 도출된 것은 우연의 역할임을 부각시킨다.  성공에서 운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사실이 여기에서도 드러난다. 포용적 제도를 갖게된 대부분의 국가는 자신들의 성공 요인을 몰랐던 것이 아닐까? 포용적 제도를 만들면 승자가 된다는 사전인식은 없었던 것이 아닐까? 3. 퇴행 가능성  베네치아의 흥망성쇠 이야기는 흥미롭다. 포용적 제도 때문에 성공하였으나 자신들의 성공 요인을 몰랐다. 기득권층에 대한 견제가 사라지자 착취적 제도를 채택하고 쇠퇴하게 된다.  한국은 비교적 포용적인 제도를 통해 성공하고 있으나, 퇴행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성공의 선순환 고리를 유지하고자 노력해야 하고, 실패의 악순환 고리를 깨려고 노력해야 한다. 4. 손실회피 성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