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뉴욕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할렘 셔플 (콜슨 화이트헤드, 은행나무)

이미지
할렘에서 작은 가구매장을 운영하는 레이 카니는 험한 동네에서 험하게 자라났지만 정직하게 살아가려 합니다. 그런데 어쩐지 주변의 범죄자들과 자꾸 엮이게 되면서 그도 조금씩 말려들게 되는데… 레이의 아내 엘리자베스는 흑인 중에서도 부유한 가정에서 자라났고, 그 때문에 장인과 장모는 레이를 은근히, 대놓고 무시합니다. 레이는 상처받은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는 것은 물론이고, 복수도 하게 되는데… 재미있냐고요?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 지에 따라 다릅니다. 이 작품은 줄거리가 재밌다기보다는 분위기를 즐기는 작품입니다. 당신은 작가의 안내를 따라 뉴욕 할렘의 어두운 골목을 누비고, 주인공이 느끼는 긴장을 같이 느낍니다. 왜냐하면 그는 빛과 어둠의 영역 양쪽에 모두 발을 걸치고 있기 때문이죠. 이 긴장감은 소설 전체를 관통하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은 캐릭터 쇼이기도 합니다. 각 캐릭터의 개성과 매력이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힘입니다. 사고뭉치이고 주인공을 범죄의 세계로 말려들게 만드는 사촌 프레디. 레이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지만 속을 알 수 없는 깡패 페퍼. 레이에게 돈을 뜯으러 찾아오는 부패 경찰. 레이에게 보호세를 받아가는 폭력조직. 레이에게 보석 보는 법을 가르쳐주는 노련한 장물아비. 레이의 이중 생활을 모르는 건지, 모르는 척하는 건지 알 수 없는 직원들. 가난한 흑인을 경멸하는 부유층 흑인들. (레이의 장인 장모도 포함) 반전이 있는 것도 아니고 플롯이 치밀한 것도 아닌 것 같은데, 레이가 과연 살아남을수 있을지 걱정하며 읽었습니다. 종장에는 드디어 레이에게 파국이 찾아오는가 싶어지는데... 당신이 결말을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해집니다.

독서평 : 어메이징 브루클린 (제임스 맥브라이드, 미래지향 출판사)

이미지
재미 하나는 확실하다.  전체 플롯을 숨겨두고 조금씩 드러내는 솜씨가 좋다. 읽는 내내 다음이 궁금해지게 만드는 솜씨. 해피엔딩이라는 점도 무척 마음에 든다. 범죄와 악이 판치는 빈민 주택에서 따뜻한 마음과 정의는 살아서 움직인다.  아니, 오히려 평범한 사람들 사이의 따뜻한 정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힘이었음을 이 이야기는 말하고 있다. 악인들의 좌충우돌은 그냥 소음에 불과했다. 캐릭터는 정말 확실하다. 소설의 재미는 캐릭터에서 온다. 다채로운 캐릭터가 스토리를 풍성하게 만든다. 교회 집사이자 주인공인 스포츠코트. 그는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알콜중독자이다. 어느 날 동네에서 마약을 팔고 있는 옛 제자에게 성큼성큼 다가가 총을 쏴버리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동네 마피아인 엘레판테. 아버지 때부터 경영해온 밀수업을 묵묵히 수행하며 살아가는데, 40세 노총각으로서 외로움을 절절하게 통감한다.  노총각 생활이 길었던 나도 그저 공감할 수밖에 없었다. 그 외 커즈하우스 사람들과 다른 범죄자들도 개성있는 인물들이라 심심할 틈이 없다. 이 소설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스포츠코트와 딤즈의 마지막 담판 장면이다. 저자의 빌드업이 빛을 발한다. 그 장면에서는 그저 숨을 죽인 채 읽을 수밖에 없었다.  개인적으로 이 소설에서 가장 매력을 느꼈던 대목은, 경찰인 포츠와 지 자매가 서로 끌리는 순간을 묘사하는 장면들이다.  2,3회에 걸쳐서 두 사람의 만남이 이뤄지는데, 수사 중인 경찰과 증인의 입장으로 만나지만, 설레임은 감출 수가 없다. 읽는 사람이 가슴이 뛰게 만들 정도의 묘사가 좋다. 그 둘이 어떻게 될지가 궁금해지는 장면이었다. 이 책의 제목이 유감스럽다. 원제는 디콘 킹콩(Deacon King Kong)으로. 킹콩 집사라는 뜻이다. 주인공을 의미하는 것. 그런데 번역 제목인 어메이징 브루클린은 다 읽고 나니 조금 생뚱맞게 느껴진다. 소설의 무대인 커즈하우스가 브루클린에 있다는 정도인데.. 어느 정도 이해할 수는 있다. 킹콩 집사라고 하자...

독서평: 맨해튼 비치 (제니퍼 이건, 문학동네)

이미지
재미있는 영화 한 편 감상한 느낌을 주는 소설입니다. 미스테리, 느와르, 로맨스, 성장소설 다 됩니다.  한 마디로 소개하자면, 과거를 무대로 여성이 겪는 차별을 당당하게 헤쳐나가는 여성의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은 남자들만 할 수 있다는 다이빙에 이끌려 도전하지만 자꾸만 가로막힙니다. 그런데도 포기하지 않는 주인공은 결국 실력으로 인정받고 이겨내지요. 이것만 보면 좀 뻔해보일수도 있습니다.  이 책을 재미있게 만드는 것은 주인공을 둘러싼 다른 두 남자, 아버지와 갱스터의 이야기입니다. 아버지의 갑작스런 실종은 주인공의 삶에 큰 그늘을 드리우고, 실종 전 아버지와 만난 적이 있는 갱스터를 성인이 되어 다시 만나면서 미스테리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주인공. 뭔가 있다는 감이 팍팍 오는거죠.  그런데 여기서 그들은 사랑에 빠져버립니다. 제가 유교보이라 그런건지, 아버지의 원수이자 20살 정도 차이나는 갱스터 남자와 주인공이 사랑에 빠지는 것이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네요. 저자도 딱히 설득력을 주려고 하지도 않습니다. 위험한 비밀을 가진 이성이라 더 매력적으로 보인걸까요? 죽은 것 같던 아버지는 알고보니…(스포일러 방지) 아버지의 원수인 갱스터는 알고보니 그냥 악인이 아니라 작가님이 내세운 제2의 주인공이었습니다. 그 또한 정체성의 위기를 겪는 불안한 영혼이었던 것입니다.  뒤로 갈수록 무리수가 등장합니다. 갱스터가 갑자기 사랑 하나만 붙들고 연습도 없이 잠수를 시도하는데… 읽으면서 조마조마하게 만듭니다. 약간 뜬금없기도 하고요. 제대로 교육도 안받고 잠수를 하니, 잠수병이 올만도 한데...(스포일러 방지) 어쨌든 재미 하나는 확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