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글항아리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도서관의 삶, 책들의 운명 (수전 올리언, 글항아리)

이미지
다 읽고 나서 제목을 다시 보면 좀 지나치게 거창하다. 원제는 그냥 <도서관의 책 The Library Book>이라서 좀 밋밋했는지 이런 제목을 붙였다.  그러나 음미해보면 원제가 더 좋다. 이 책은 도서관을 사랑하는 사람이 그저 도서관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싶은 책이다.  당신은 도서관을 얼마나 이용하는가? 당신의 삶에서 도서관이란 어떤 존재인가? 도서관에 잘 가지 않는 사람이라면 이 책에 큰 감흥이 없을 것이다. 도서관을 사랑한다면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모든 이야기를 다 이해하고도 남을 것이다. 도서관은 커뮤니티이자 사회안전망이기도 하다.  이 책은 LA중앙도서관 화재사건을 취재하는 르포르타주이기도 하면서, 그 도서관의 역사를 다루고, 도서관의 현재를 관찰한다. 그러니까 3개의 서사를 교차하면서 풀어나가는 이야기인 셈이다.  각 챕터는 매우 짧은 분량이지만 3개의 이야기가 계속 교차되므로 처음에는 집중력을 유지하기 쉽지 않았다. 하지만 저자가 왜 그렇게 이야기하는지 조금 알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저자의 취재 여행을 함께하는 느낌이다. LA중앙도서관 화재사건 이 부분은 두가지 성격이 있다. 범인을 찾아가는 추리소설 같은 이야기와, 도서관의 화재로 크나큰 상실을 겪은 사람들의 이야기.  그 화재가 있던 날 수상한 행적을 보이는 사람, 그를 기소한 수사관들을 인터뷰하고 사실들을 재구성하는 것은 탐정의 정석 같은 행보이다. 사랑해마지 않는 도서관이 불타고, 소화수로 젖어서 망가진 책들도 산더미. 도서관 화재에 슬퍼하는 사람들의 모습, 젖어버린 책을 되살리려는 노력에 시민들이 동참하는 이야기가 인상깊다. LA중앙도서관의 역사 LA중앙도서관은 LA라는 도시의 성장과 함께 자라났다.  역대 도서관장의 인물 군상 이야기들. 화재가 발생한 그 건물이 지어지기까지의 내력들은 미국 현대사의 축소판이다.  여성이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던 시절, 흑인이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던 시절 ...

독서평: 쌍전 (류짜이푸, 글항아리)

이미지
독서에서 얻는 가장 큰 소득은 내 생각을 뛰어넘는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것이다. 물론 그런 책은 많지 않다. 그런데 이 책이 바로 그런 책이다. - 삼국지와 수호전이 얼마나 매력적인 작품인지. 그러나 그 매력 때문에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버리는 두 작품 속의 독소를 우리는 알고 있을까? - 류짜이푸는 두 작품이 중국에서 경전의 경지에 오를 정도로 숭앙받는다고 하여 이들을 쌍전이라 칭한다. 이 쌍전이 중국을 정신적으로 통치하고 있으며, 중국에는 <삼국지 인간>과 <수호전 인간>이 넘쳐난다고 말한다.  - 삼국지와 수호전이 얼마나 큰 악영향을 미쳤는지 조목조목 비판해준다. 두 작품의 인물들과 장면들을 세밀하게 해부하면서 비판하는데, 그 논지는 다분히 서구적이지만 반박이 어려울 정도로 논리정연하다.  수호전의 문제 : 잔혹한 폭력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며, 영웅시한다 삼국지의 문제 : 권모술수, 속임수를 미화하고, 공사구분을 못하는 의리를 미화한다 그리고 두 작품의 공통점 : 극심한 여성비하 - 의구심을 가져본 적 없는 영웅들과 그들의 명장면들이 새롭게 재해석된다. 삼국지를 냉정하게 바라보게 되었다. 그리고 삼국지를 읽으면서 미묘한 위화감을 느꼈던 이유를 알게 되었다. 수호전은 제대로 읽은 적은 없는데 차라리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마오쩌둥은 쌍전의 정신을 실제로 구현하여 성공한 인물이다. 마오쩌둥은 마르크스 주의자를 자처하지만 실상 그를 움직인 근본 동력은 '반역은 정당하다', '도원결의', '권모술수'와 같은 쌍전의 정신이다. 중국인들이 마오쩌둥을 숭배하는 이유가 이 때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