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행복인 게시물 표시

후기: 감사일기가 잘 되지 않을 때

이미지
감사일기를 쓰면 좋다고 한다. 내 주변의 공동체에서도 자주 말하고, 인터넷에서도 감사일기를 검색하면 수많은 긍정적 경험을 접할 수 있다. 감사라는 감정은 분명 우리를 건강하게 하고 삶을 풍성하게 해준다. 그런데, 나는 개인적으로 이것이 쉽지 않았다. 감사해야 한다는 것이 내게 도덕적인 의무처럼 느껴진 것이다. 내가 우울증으로 바닥을 칠 때조차, 나는 육체적으로 질병이 없었고 괜찮은 직장에 다니고 있었으며 경제적인 문제도 없었다. 감사일기를 쓰기 위해 이런 것들을 떠올리고 있노라면 나는 내 감정과 이성의 괴리를 느낄 뿐이었다. 그러니까, 감사해야 할 이유가 차고 넘치는데도 내 마음은 왜이리 엉망진창인걸까? 감사일기를 써야 한다는 당위성과, 감사일기를 통해 삶이 나아졌다는 주변의 증언들도 내게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내가 떠올리는 감사는 머리의 차원에 머물렀고, 감사해야 할 것이 명명백백함에도 가슴이 움직이지 않는 것에 당혹스러웠다. 오랜 시간 방황하면서 알게 되었는데, 그것은 내가 나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스스로의 감정을 인지하고 대응하는 것을 할 줄 몰랐던 것이다.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은, 내가 그런 상태라는 메타인지조차 불가능했다는 점이다. 인식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는 것이다. 내가 감사일기의 효과를 되살려낸 계기는, 감사보다는 <기쁨>이라는 감정에 집중한 것이었다. 출처가 기억나지 않는데, 기쁨의 감정을 느끼는 것에 집중해보라는 조언을 얻었다. 그래서 나는 감사일기 대신 기쁨일기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이미 감사할 조건이 많은 상태에서도 기쁨이 없는 삶에 너무 익숙해져 있었기에, 그날 하루 어떤 기쁨을 느꼈는지를 짚어보는 것은 생소했다. 그렇지만 아무리 우울하고 별로인 날도 기뻐할 일은 있었다. 그 당시 내가 적었던 기쁨일기 몇가지는 다음과 같다. 마지막 남은 따릉이를 내가 맡게 되어 기뻤다. 오늘은 노을이 예뻐서 기뻤다. 오늘은 가기싫은 출장이 취소되어서 기뻤다. 아마 별 것 아니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독서평: 빅 퀘스천 (더글러스 케네디, 밝은세상 출판사)

이미지
더글라스 케네디의 자전적 에세이. 흡입력이 대단한 책이고 오래 여운이 남을 것 같다. 인생에 대해 갖고있던 생각들을 이 책을 읽으면서 가다듬을 수 있었다. 강추합니다. - 저자가 자신의 삶을 낱낱이 드러내면서 하고 싶은 말은 이것이다.  당신에게는 불행을 멈추고 인생을 바꿀 선택지가 있다.  그러나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체념하고 우울 속에 살아가면서 화를 축적한다. 자신에게 선택권이 있음을 모르거나 알면서도 무시하면서 자신은 인생의 피해자라고 한탄한다. - 인생을 망치는 것은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임을, 저자의 이야기 속에서 절실하게 깨닫는다.   - 부모님의 불행한 결혼생활을 지켜본 이야기, 소설이 성공해 부자가 된 뒤 아버지와 저녁식사에서의 에피소드가 인상깊다.  - 모든 것이 엉망인 어느 날, 저자는 스키를 타면서 행복을 느끼고, 이런 상황에서 자신이 행복을 느끼는 게 이상해서 행복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는 장면이 너무 좋았다.  Quotes 자기 파괴적인 일탈 행위로 비극을 자초한 게 얼마나 한심하고 비참한 짓이었는지 뒤늦게야 깨달았어요. 내 자신이 자초한 비극이었죠. 충분히 피할 수도 있었는데 그러지 못했어요. 비극을 피하려면 자기 자신을 잘 알고 있어야만 하죠. 우리는 매일 아침 거울 속에 들어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보며 살아가죠. 그렇지만 자기 자신에 대해 모든 걸 알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자기 자신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 그 사실이 우리에게는 무엇보다 큰 비극입니다. 나는 다시 한 번 간절히 느끼게 되었다. 나를 진심으로 아껴주지 않는 사람과 가까이 할수록 상처만 깊어진다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