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평: 숨 (테드 창, 엘리 출판사)

제가 가장 좋아하는 SF작가 테드 창의 작품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여러 단편들이 모두 재미있으면서도 깊게 생각할 거리가 많아서, 같이 읽고 이야기하기에 좋은 책입니다. <상인과 연금술사의 문> 이제껏 보아온 모든 타임슬립물 중에서 가장 완벽하다. 과거와 미래가 만나도 아무것도 바뀌지 않고, 그저 더 잘 알게 된다는 설정. 운명론이기도 하면서, 과거를 더 잘 알게된 후로는 인생이 송두리째 바뀐다. 그러면서도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즉 정해져 있었다는 것이다. 정말 감탄사만 나온다. <숨> 엔트로피와 에너지 평형, 궁극의 평형에 도달하면 모든 것이 끝난다는 물리학적 종말론. 그걸 알면서도 지금 묵상하고 감사한다. 명작이다. <우리가 해야 할 일> 자유의지가 없음을 증명하는 장치가 나온다면? Arrival 과 일맥상통인가. 그래도 우리는 자유의지가 있는 것처럼 살아야 한다는 철학적 고찰까지. 테드 창은 천재이다. 디지털 저장장치로 삶의 모든 순간을 저장하고 검색하는 발상은 참신하기도 하고, 고찰이 단순하지 않아서 좋다. 따뜻한 기억을 잃지 않도록 라이프로깅에 반대하는 듯하다가 진실을 발견하고 겸손해진다는 이야기. 모두들 겸손할 지어다. 앵무새가 화자로 등장하는 <거대한 침묵>은 서정적인 시편같다. <옴팔로스>는 신에게 기도하는 기도문의 형태를 하고 있다. 신이 없다는 것을 깨달아 가는 것 같지만 그 고백조차 신에게 향하고 있다. <불안은 자유의 현기증> 평행자아를 만난다는 신선한 아이디어. 그 속에 깊은 철학적 고찰. Arrival 이 생각나기도 하고. 내가 그때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자책하면서 삶을 낭비하는 사람에게 그 사건의 여러 버전을 보여주는 것은 얼마나 가치가 있을까. 감탄사가 나온다. 제일 마지막까지 미뤄둔 디지언트 애완동물 이야기는 정말 대작이다. 유기체의 모든 것을 모사하는 디지털 유전자를 만들면 지성을 갖춘, 인간 아기가 성장하는 것처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