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독서습관인 게시물 표시

다짐 : 김대중 대통령을 본받는다.

이미지
김대중 대통령 자서전(삼인출판)을 읽고 강한 인상을 받았다.  그와 같은 삶을 산다면 나의 인생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김대중 대통령과 같은 덕목을 갖기 위해 노력하기로 결정했다.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영원한 성장을 추구하겠다. 김대중은 50이 넘어서도 성장했다. 젊은 시절에는 경부고속도로에 반대하는 등 미숙한 생각을 가졌지만 대통령이 되어서는 가장 우파적인 개혁정책을 실시했다. 그는 성장을 멈추지 않았다. 나도 영원히 성장하는 사람이 되겠다. 서생적 문제의식, 상인적 현실감각을 갖겠다. 김대중이 성공한 대통령이 된 것은 날카로운 현실인식으로 올바른 정책을 취했기 때문이다. IMF시국의 경제 재건은 어려운 일이었다. 사회는 온통 아비규환이었고 올바른, 그러나 냉정한 정책적 판단은 쉬운일이 아니었다. 치열한 현실감각이 그것을 이루어 준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지적으로 부단히 노력하는 인간이었음을 말해준다.   진정한 신앙인이 되겠다. 김대중 대통령은 죽음의 고비를 여러번 넘기면서도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고 삶에 의지를 잃지 않았다. 세상 사람들은 그를 성자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신앙의 힘이다. 나의 기독교 신앙도 그와 같은 방향을 추구하겠다. 엄청난 다독가가 되겠다. 물론 감옥이라는 외부요소가 있었지만 누구나 그처럼 책을 많이 읽지는 않을 것이다. 나또한 원하는대로 인생이 풀리지 않는 것은 나를 다독의 길로 이끌었고, 다독은 이제 다시 나를 삶의 길로 이끌 것이다. 배우자와 아름다운 관계를 만들겠다. 어떻게 그런 관계를 만들 수 있을까? 그들의 사랑은 감옥생활과 핍박의 와중에도 굳건했다. 그런가 하면 시시콜콜한 대화와 장난, 웃음이 있는 관계였다. 나도 김대중 대통령처럼 그런 부부관계를 만들고 싶고,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과 결혼생활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포용력있는 사람이 되겠다. 김대중 대통령은 카톨릭 신자, 이휘호 여사는 개신교 신자였다. 두 사람 다 서로의 종교를 바꾸려고 하지 않았다. 배우자의 ...

후기 : 생활 시간대별 독서

이미지
저는 이 세상에 읽고 싶은 책이 무척 많습니다. 말도 안되지만, 이 세상의 모든 책을 다 읽고 싶다고 생각한 적도 있습니다. 주로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물론 있지만, 관심이 없는 분야의 책이라고 해도 흥미롭다고 생각하면 읽고 싶어집니다. 그러다보니, 제가 책을 읽는 속도보다 Wishlist에 쌓이는 속도가 빠릅니다. 읽고 싶은 책의 양이 스스로도 부담될 정도입니다.  제한된 시간에 최대한 많은 책을 읽으려면 어떡해야 할까? 제가 여러 해 동안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최적화한 해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점 해법 읽고 싶은 책이 많고 장르도 다양하다. 동시에 여러 권의 책을 읽는다. 책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다. 생활 속에서 최대한 시간을 만든다. 책마다 필요로 하는 집중의 정도가 다르다. 시간대 별로 다른 책을 읽는다. 오디오북 또는 TTS기능을 활용한다. 그럼 저의 해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한마디로 , 생활 속의 시공간을 세분화하고 그 시공간에 맞는 형태의 독서를 실행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동시에 여러 권의 책을 읽는다. 읽고 싶은 책이 많으니 많이 읽을 수밖에 없습니다. 스마트폰에 익숙해진 현대인 답게 집중력을 오래 유지할 수 없기도 합니다.  중고등학교 때 수업 시간마다 다른 과목 공부한 적이 있으시죠? 그런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영어 공부하다가 수학 공부하고, 다시 역사 공부하는 일을 우리는 자연스럽게 해냈었죠.  저는 보통 5~6권의 책을 동시에 읽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