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줌파 라히리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이름 뒤에 숨은 사랑 (줌파 라히리, 마음산책)

이미지
이름이 특이한 주인공 고골리. 고골리는 러시아 작가의 이름이고 아버지가 사랑하는 작가이지만, 그에게는 그냥 이상한 이름일 뿐이다. 그는 이름때문에 청소년기를 힘들게 보낸다. 그러나 그 이름에는 아버지의 큰 사랑이 담겨있음을 그는 뒤늦게 깨닫는다.  이름은 한 사람의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칠까? 자신의 이름을 싫어하는 삶이란 어떤 것일까? 고골리는 벼르고 벼르다가 개명을 하지만, 막상 새로운 이름이 낯설고 어색하다. 그토록 싫던 이름은 어느새 내 존재의 일부가 되어있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이 부르는 내 이름이 진짜 내 이름이다. 캘커타 출신의 이민자가 미국에서 삶을 꾸려가는 모습이 흥미롭다. 완전히 다른 환경 속에서 전통적 생활양식을 지켜나가지만, 자녀들은 미국인으로 자라난다. 이건 한국 교포들에게도 비슷할 것 같다. 고골리는 한동안 부유한 미국인 가족들과 동거하면서, 가족을 떠난 자유를 만끽한다. 그러나 아버지의 죽음은 그를 다시 가족 곁으로 불러들인다. 이 모든 과정에서 고골리가 느끼는 감정들은, 나도 한때 느껴본 것들이다. 고골리의 결혼이 실패하는 과정을 담담하게 묘사한다. 그의 아내는 영혼 어딘가에 구멍이 나 있다. 외도를 저지르는 자신을 혐오하면서도 멈출수가 없다.  고골리가 태어나기 전부터 성인이 된 후 까지 가족의 삶을 조명하는 방식이 좋다. 우리의 삶은 자꾸만 앞으로 나아간다. 어른들이 돌아가시고 아이들이 태어난다. 고골리가 아버지가 남기고 간 러시아 작가 고골리의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이야기가 마무리되는 것이 좋다. 결국 이 작품의 주제는 사랑이다.

이탈리아어 공부를 시작합니다.

이미지
로마에 다녀왔다가 이탈리아의 매력에 푹 빠졌거든요. 활자중독자답게, 어딜가든 보이는 간판과 표지를 읽어대다가 가장 친숙해진 단어가 바로 Uscita(출구)였습니다. 어린아이처럼, 저 표지를 발견할 때마다 "우치타!"라고 읽으면서 다녔습니다. (돌아와서 확인해보니 "우쉬타"라고 읽어야 한다는데 비슷하게 맞췄네요^^;) 저는 어린아이처럼 언어에 접근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문법, 단어부터 익히는 수험방식을 탈피해볼게요. 줌파 라히리가 이탈리아어를 배운 일이 생각나네요. 그녀도 비슷하게, 무작정 부딪히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덜컥 로마로 이사를 하고 생활하면서 언어를 배우기 시작합니다. 지금은 능숙하게 이탈리아어로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고 합니다. 급할 것 없으니, 차근차근 배워나가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