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진화인 게시물 표시

독서평 : 초협력사회 - 전쟁은 어떻게 협력과 평등을 가능하게 했는가 (피터 터친, 생각의힘 출판사)

이미지
이 책이 인류의 진화를 설명하는 방식이 흥미롭다. 인류의 진화 과정의 핵심 동인으로 지리, 제도를 생각해왔는데 이 책에서는 전쟁을 주된 동인으로 설명해주고 대단히 설득력이 있다.  인 류의 역사를 하나의 키워드로 엮어 설명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었다.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지리적 환경'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총, 균, 쇠』를 썼고, 대런 아제모글루와 제임스 A. 로빈슨은 '제도'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를 썼다. 이 책 『초협력사회』에서 터친은 '전쟁'이라는 키워드로 인류의 역사를 바라본다.  터친에 따르면, 인류가 거대한 협력체계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도, 그리고 인류가 오랜 평등의 시기를 마친 후 극도의 불평등 시기를 거치고 또다시 평등한 시대를 열게 된 것도 전쟁 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 전쟁이 인류의 진화 방식 자체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발사식 살상무기로 인해 알파 수컷은 사라지고 협력해야 할 이유가 강화된 것이다. 협력하지 않는 부족은 전쟁을 이길 수 없으니까.  소부족간 전쟁을 우습게 보지 마라. 패하는 부족은 동화흡수되는 형태의 절멸을 겪는다. 병력수와 전투력, 사상자로 인한 전투력의 감소를 생각하면 수적 우위의 제곱만큼 상대방에게 사상자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쟁을 위해 소부족을 넘는 거대한 국가의 필요가 생겨난다. 그런데 거대화를 하고 싶어도 신뢰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냐? 여기서 종교 등장! 아무리 모르는 사람이라도 같은 신앙인이라면 믿고 보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잘 알려진 몇 가지 이론들을 반박하는 대목이 좋았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는 초협력 사회를 설명할 수 없다는 지적이 통렬하다. 마지막 챕터에서 스티븐 핑커의 <선한 천사>를 체계적으로 비판한다.  극심한 불평등은 폭력의 원천이기에, 인류가 다시 폭력의 시대를 맞이할 수도 있다는 저자에게 동의한다. 또한 인류의 진화과정에 대한 저자의 통찰은 분명 뛰어나다.  인류의 발전은 항상 ...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리사 펠드먼 배럿, 길벗)

이미지
이 책을 정말 감탄하면서 읽었습니다. 저자의 강연록을 모은 형식인데요, 8개의 강의가 모두 훌륭합니다. 한 챕터 끝날때마다 곱씹어야 해서 빨리 읽을 수 없었고, 끝나는게 아쉬워서 아껴서 읽고 싶어서 끊어 읽었습니다. 뇌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결국은 철학적인 결론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름답게 느껴진다고나 할까요. 이 책을 꼭 읽어보세요!  저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던 포인트들을 조금 소개드립니다. 1. 생존을 위해 진화하면서 뇌는 예측기계가 되었다. 진화에는 <왜>가 없다. (31)  자연선택은 우리를 향해 진행되지 않았다. (51) 뇌는 생각하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 생존하기 위해 있는 것이다.  생존을 위한 생체 에너지 Budget을 운영하는 것이다. 먹이의 움직임, 천적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에 집중함. 생존이 걸려있기에, 뇌는 항상 예측을 하고 있다. 2. 우리는 연결된 존재로서 가치가 있다. 연결 자체가 핵심이다. 뇌는 네트워크다. 연결 자체가 구조이다.  좋든 싫든, 우리는 타인에게 (뇌와 몸에) 영향을 주고 받는다. (143) 어린이의 뇌는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 양육자, 주변 사람들이 어린이에게 말하고 행하는 모든 것들에 반응해서 자라나는 것이다. 예술은 예술가가 절반만 만든 것이다. 나머지 절반은 감상하는 사람의 뇌가 만든다. 3. 뇌과학을 알면 타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뇌가 사회적 현실을 만들어낸다. 그것이 초능력이다.  초능력은 당신이 그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때 가장 잘 작동한다. 어떤 종류의 마음도 본질적으로 다른 어떤 마음보다 낫거나 나쁘지 않다.  그저 다양할 뿐. 그래서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변이가 있을 뿐이다. (160) 매일 5분 동안 당신이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그 문제를 생각해 보라.  당신의 머릿속에서 그들과 논쟁을 벌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당신만큼 똑똑한 사람이 어떻게 해서 당신과 정반대 신념을 가질 수 있는지 이해하기 ...

독서평: 오리진 (루이스 다트넬, 흐름출판)

이미지
탁월하다. 사피엔스에 버금간다는 말이 맞다. 사피엔스가 인간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 책은 지구 전체의 활동이 인간을 만들어냈음을 말한다. 혹독하고 빈번한 환경변화가 고도의 지능을 가진 호미닌의 출현을 이끌었다. 재밌습니다.   - 지구의 지질학적 활동이 인류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을 거라는 점. 알고나서 생각하면 자명한 사실이지만, 이 책에서 지적해주지 않았으면 생각하지 못했을 관점이다. - 동아프리카 지구대의 지각 활동, 판의 움직임이 기후도 변화시키고 생물계도 변화시켜서 인간을 사냥하고 협력하게 만들었다는 점. 우리는 판의 자식 이라는 표현은 과격하지만 강렬하다. - 높은 지능은 개체가 한평생을 살아가는 동안 환경이 크게 변하면서 생겨나는 다양한 도전에 대처하는데 도움을 준다.  훨씬 긴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환경 변화에 맞서 진화는 많은 세대가 지나는 동안 종의 신체나 생리를 적응시키는 방법(예컨대 낙타를 건조한 환경에서 잘 살아가도록 적응시킴으로써)으로 대처할 수 있다.  반면에 지능은 자연선택이 신체를 적응시키는 것보다 더 빨리 일어나는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진화가 내놓은 해결책이다.  -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면서 증폭기 호수들은 헐거워진 전구처럼 불이 들어왔다 나갔다 했다. 그리고 각각의 변동은 구할 수 있는 물과 식물과 먹이에 큰 변화를 초래했고, 이것은 우리 조상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빠르게 요동하는 환경 조건은 다재다능하고 적응력이 뛰어난 호미닌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고, 따라서 더 큰 뇌와 더 높은 지능의 진화를 촉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