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읽기: 엘레나 페란테의 책읽기 #6

이미지
Ciao! 오늘도 무작정 읽기입니다. 잘 모르지만 무작정 읽는 것인데요. 뜻을 모르겠으면 소리내어 읽어보는 정도로 넘어갑니다. 솔직히 줄거리에 대한 감도 잘 생기지 않지만, 생소한 언어 자체가 흥미롭습니다. 오늘의 문단을 한번 같이 보시죠. Enzo non le fece mai più altri regali.  엔조는 그녀에게 다시는 선물을 주지 않았다. Dopo la lite con Gigliola, che aveva detto a tutti della dichiarazione che lui le aveva fatto, lo vedemmo sempre meno.  그리고 죨리올라와의 lite, 그가 한 일을 모두에게 말하고, 항상 적게 보았다? Pur essendosi mostrato bravissimo coi calcoli a mente era troppo svogliato, sicché il maestro non lo propose per l'esame d'ammissione alle medie e lui non se ne rammaricò, anzi ne fu contento.  이 문장은 거의 모르겠네요. 중간에 알아보는 것은 a mente 머리에, troppo 매우, il maestro 선생님 정도입니다. S'iscrisse alla scuola di avviamento al lavoro, ma di fatto già lavorava coi genitori.  학교에서 직장까지? 그러나 부모님과 같이 일하는 것? Si svegliava prestissimo per andare col padre al mercato 아버지와 시장에 가는 것을 자랑스러워했다? 솔직히 쉽지 않습니다만 그래도 재미있습니다. 모르는 말을 알게 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포기하지 않고 계속 읽어나가겠습니다. Buona Fortuna!

다짐 : 김대중 대통령을 본받는다.

이미지
김대중 대통령 자서전(삼인출판)을 읽고 강한 인상을 받았다.  그와 같은 삶을 산다면 나의 인생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김대중 대통령과 같은 덕목을 갖기 위해 노력하기로 결정했다.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영원한 성장을 추구하겠다. 김대중은 50이 넘어서도 성장했다. 젊은 시절에는 경부고속도로에 반대하는 등 미숙한 생각을 가졌지만 대통령이 되어서는 가장 우파적인 개혁정책을 실시했다. 그는 성장을 멈추지 않았다. 나도 영원히 성장하는 사람이 되겠다. 서생적 문제의식, 상인적 현실감각을 갖겠다. 김대중이 성공한 대통령이 된 것은 날카로운 현실인식으로 올바른 정책을 취했기 때문이다. IMF시국의 경제 재건은 어려운 일이었다. 사회는 온통 아비규환이었고 올바른, 그러나 냉정한 정책적 판단은 쉬운일이 아니었다. 치열한 현실감각이 그것을 이루어 준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지적으로 부단히 노력하는 인간이었음을 말해준다.   진정한 신앙인이 되겠다. 김대중 대통령은 죽음의 고비를 여러번 넘기면서도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고 삶에 의지를 잃지 않았다. 세상 사람들은 그를 성자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신앙의 힘이다. 나의 기독교 신앙도 그와 같은 방향을 추구하겠다. 엄청난 다독가가 되겠다. 물론 감옥이라는 외부요소가 있었지만 누구나 그처럼 책을 많이 읽지는 않을 것이다. 나또한 원하는대로 인생이 풀리지 않는 것은 나를 다독의 길로 이끌었고, 다독은 이제 다시 나를 삶의 길로 이끌 것이다. 배우자와 아름다운 관계를 만들겠다. 어떻게 그런 관계를 만들 수 있을까? 그들의 사랑은 감옥생활과 핍박의 와중에도 굳건했다. 그런가 하면 시시콜콜한 대화와 장난, 웃음이 있는 관계였다. 나도 김대중 대통령처럼 그런 부부관계를 만들고 싶고,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과 결혼생활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포용력있는 사람이 되겠다. 김대중 대통령은 카톨릭 신자, 이휘호 여사는 개신교 신자였다. 두 사람 다 서로의 종교를 바꾸려고 하지 않았다. 배우자의 ...

독서평 : 초조한 마음 (슈테판 츠파이크, 문학과지성사)

이미지
연민이라는 감정과 그로 인해 번민하는 인간의 심리를 제대로 묘사하는 작품. 제목 그대로 주인공의 초조한 마음이 독자에게 그대로 전해지는 것이 뛰어나다. 간단하게 말해서, 주인공은 미성숙한 인격을 갖고 있다.  읽고 있노라면 이런 병신같은 놈이 있나 싶지만, 나 역시 미숙하던 시절에 이런 마음을 가져본 적이 있다.  자신만의 기준이 없고 타인의 반응에 일희일비하는 연약한 심성 말이다.  그리고 책임지려 하지 않는 비겁함. 자신의 언행이 어떤 무게를 갖는지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 자는 위험인물이다. 이런 미성숙함으로 인해 큰 비극이 일어나는 일은 흔하지 않지만, 분명 가능성이 없지는 않을 것이고, 그러한 가능성을 극단까지 가져가보는 것은 문학작품만이 할 수 있다. 주인공은 작품 내내 이랬다 저랬다를 반복한다.  연민으로 접근한 상대에게서 구애를 받자, 거절했다가 다시 연민 때문에 흐지부지 다가가고 거절하기를 반복하는 것이다.  읽는 사람도 주인공과 같이 롤러코스터를 타게 된다. 주인공의 공포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관계에 구속되는 것이다.  케케스팔바 가족을 동정하기는 했지만, 그들의 사랑을 받아들이고 그들과 가족이 되는 것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이야기이다.  케케스팔바 가족은 동유럽에서 백안시되는 유대인인데, 동료 집단이 나를 어떻게 볼까 하는 두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주인공의 공포를 극명하게 이미지화 한 것이 아라비안 나이트의 노인 악마이다. 힘없는 노인의 모습을 하고서 동정을 구하는 노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가, 업어주면 절대로 떨어지지 않고 피해자를 통제하는 악마.  어느 늦은 밤 자신의 방으로 찾아와 딸의 사랑을 받아주기만 하면 모든 것을 다 주겠다고 제안하는 케케스팔바 노인을 바라보는 주인공의 마음에 그 악마가 겹쳐보인다.  그리하여 결연하게 노인을 거절하고 돌려보내는 데 성공했지만, 세상을 다 잃은 표정으로 쓸쓸하게 돌아가는 노인을 보고는 그만 자신의 말을 번복하고 그녀의 사랑...

후기 : 좌욕으로 약해진 항문을 보호하기

이미지
저는 사무실에 오래 앉아서 일하는 직업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어느 날 항문이 아픈 날이 찾아오더군요. 두 번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34살 때, 두 번째는 40살 때였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두 번 다 어떤 프로젝트에 집중하느라 유독 앉아있는 시간이 길었던 시기였습니다. 사실 저는 러닝을 좋아해서 꾸준히 운동을 하고 있었기에, 항문이 아프게 될 거라고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스스로를 매우 건강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으니까요. 아무 생각없이 변을 봤는데 선홍색 피가 가득한 걸 봤을 때 그 충격이란! 저는 정말 큰 병인줄 알고 의사인 친구에게 물어봤더니 피가 선홍색이면 내장에서 나온 피가 아닐 가능성이 높으니 항문외과에 가라고 하더군요. 그나마 안심했지만, 어쨌든 항문외과에 간다는 것은 유쾌한 일은 아니었습니다. 게다가 그 이후로 변을 볼 때마다 상처가 벌어지는 고통이 느껴지고 계속 피가 흘렀으니까요. 항문외과에서는 굴욕감이라는 또 다른 고통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의사 선생님이 고무장갑을 끼시고 검지 손가락을 내 항문에 직접 넣으시고 만져보시더군요! 살면서 이런 경험을 하는 날이 올 줄이야... 두 번 다시 겪고 싶지 않은 경험이에요. 첫 발병 때는 항문에 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변을 무르게 하는 약을 먹고 아물기를 기다렸었고, 앉아있는 시간을 줄이려고 컴퓨터 위치를 조정해서 서서 일하기도 했습니다. 앉고 싶을 때는 도넛 방석을 써서 항문에 자극을 주지 않으려고 노력했었습니다. 그렇게 노력해서 완쾌가 된 것 같은데 사실 시나브로 나았기 때문에 어떻게 나았는지 기억이 나는 것은 아닙니다. 두 번째 발병은 수 년이 지난 어느 날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출장이 많아서 운전하는 시간이 많았고, 운전을 오래하다보니 오래 앉아있었던 것 같습니다. 첫 발병처럼 피가 많이 나지는 않았지만 대변을 볼 때마다 찢어지는 아픔이 있었습니다. 예전의 기억을 되살려 항문외과를 찾아갔는데, 역시나 항문을 직접 만져보시는 것은 똑같더군요. 큰 굴욕을 느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

독서평 : 안나와디의 아이들 (캐서린 부, 반비 출판사)

이미지
이 책은 인도에서도 가장 가난한, 무허가 빈민촌인 안나와디 마을이 삶을 다루는 르포르타주이다. 안나와디의 생활상을 자세히 묘사하기 때문에, 마치 그들의 삶을 직접 경험한 것처럼 생생하다. 이 모든 이야기들이 실화라는 점을 상기하면, 가슴이 먹먹해지는 느낌이다. 이런 삶이 실제로 있다고?  이 책의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중심 축은 두 가족이다.  압둘네 가족. 넝마주이 고물상이 주업이다. 생활력이 있어서 안나와디에서는 상대적으로 좋은 형편으로 살고 있지만, 옆집 여자와 시비 끝에 사망사고가 일어나자 그들의 삶은 풍비박산이 나버린다. 위기를 감지한 주변 사람들은 하이에나처럼 냄새를 맡고 찾아와서 돈을 뜯어내려고 한다. 그들이 축적한 손바닥만한 우위는 아주 위태로운 것이었다. 만감이 교차한다. 아샤네 가족. 정치적 권력을 추구하는 아샤는 우여곡절 끝에 어떤 결실을 맺지만, 그것은 철저한 이기주의적인 방식이고, 마을의 복지 따위는 그들의 알 바가 아니다. 나름 양심적이고 엄마의 부정부패를 미워하는 순수한 대학생 딸인 만주조차, 급격한 생활수준의 향상을 경험하게 되면서 더 이상 양심을 따르지 않는다. 애초에 모두들 양심 따위는 없는데, 혼자서만 도덕적으로 생활해봐야 결과는 빈곤 뿐이니까. 예전에 읽었던  세 갈래 길 에서도 엿볼 수 있었지만, 인도 빈곤층의 생활상은 정말 혀를 내두르게 한다. 하릴없이 시간을 보내다가 넝마주이를 해서 하루에 고작 몇 천원 벌어서 삶을 이어간다. 넝마주이 일 마저도 없으면 굶고 도둑질하는 수밖에 없는 비참한 삶이 너무 흔하다.  안나와디 마을에 만연한 부정부패도 읽는 사람을 분노하게 한다. 빈곤은 구조적인 문제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기회만 되면 돈을 뜯으려는 사람들 천지이다. 특히 관공서 직원들과 경찰들이 그러한 일에 앞장서는 모습에서 참담함을 느낀다. 기부금이나 정책 지원금도 실무자 선에서 착복되는 일이 너무 흔하다. 이 나라가 제대로 되려면 어디서부터 고쳐야 할지 앞이 보이지 않는다.  부...

만화읽기: Peanuts #14

챠오Ciao! 오늘도 만화를 읽어보겠습니다. 귀여운 그림을 보면서 즐거운 마음으로 말을 배울 수 있습니다. 오늘 만화는 첫번째 컷의 문장이 쉬워서 골라봤습니다.  https://www.ilpost.it/2025/01/20/peanuts-2025-gennaio-20/ 언제나처럼 그림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이 포스팅에서는 대사들만 같이 읽어보겠습니다. Linus ha l’influenza… Oggi non può venire a scuola con te. Non posso andare a scuola da sola… Quel bambino che mi ha prestato il righello mi beccherà! Non penso che tu voglia offrirti di proteggermi. “Non penso” è un buon modo di metterla! 라이너스가 감기에 걸렸다지요? 첫 문장이 쉬우니 괜히 더 자신감이 생깁니다. 한번 차근차근 읽어보겠습니다. 라이너스는 감기에 걸렸어... 오늘 너와 함께 학교에 갈 수 없다. 혼자서 학교에 갈 수는 없어... 어떤 아이가 나에게 prestato il righello 할까.. 나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맡아줄 생각 없나? "생각없음"은 좋은 방법이구나! 제가 절반 이상 이해하는 것 같습니다. 정확하게는 맞지 않을 수도 있지만, 뭐 어때요. 최소한 만화를 즐기기에는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족스럽습니다. 다음에 다시 읽으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재미를 잃지 않으면 됩니다. Buona Fortuna!

독서평 : 당신은 뼛속까지 경영자인가 (해럴드 제닌,앨빈 모스코우, 오씨이오 출판사)

이미지
경영이란 무엇일까요. 대학에서는 경역학이라는 학문을 공부하고, 시중에는 수많은 경영 서적이 있지만, 경영을 잘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 책의 가르침은 명쾌합니다. 잠시 시간을 내어 이 책을 읽어볼 가치가 있습니다. 1. 경영이란 무엇인가? 경영의 본질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 목적을 이뤄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끊임없는 시도가 있어야 함도 자명하다.  “경영자는 경영을 해야 한다” 부실한 결과를 용인해서도 안되고, 변명해서도 안된다. 최선을 다해야 한다.  2. 경영을 어떻게 하는데? 목표를 세우고 실행하여 달성해내면 된다. 하나의 목표가 다음 단계를 위해 필요한 임무들을 결정해주고, 최종단계까지 되풀이된다. 양파 껍질처럼 이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배운다. 우리네 인생처럼, 리더십도 실행하는 과정에서 배울 수 있을 뿐이다. 최선이 아닌 것에 결코 만족하지 않는다. 더 좋은 답을 찾기 위해 늘 노력하며, 늘 배우고, 일을 진행하면서 더 좋은 결과를 만든다.  깊이 파고들면서 생각해야 한다. 어느 신임 사장이 어느 사업부의 한 요소를 나 타내는 숫자로 4(이것은 4백만 달러나 4천만 달러, 또는 4억 달러를 나타낼 수 있다.)를 보았다고 가정해보자.  이 숫자를 분석하는 중에 그는 이것이 2+2나 3+1이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할지 모른다. 비즈니스에서 4로 표현되는 총계는 +12 와-8을 의미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아마 그는 +12가 더 높아야 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8에 집중하여 그것이 +5와-13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그래서 -13을 더 깊이 파고 들어간 그는 이것이 이를테면 유행에 한참 뒤떨어지고 팔리지도 않는 일련의 제품에서 발생한 손실임을 파악한다. 그래서 이 제품군의 생산을 중단시켜 13의 손실을 절감한다. 3. 저자가 알려주는 경영의 원칙 1. 지름길로 가려고 하지 말라.  회사 구조의 모든 경로를...